[홍석환의 3분 경영] 시간 관리

  • 오피니언
  • 홍석환의 3분 경영

[홍석환의 3분 경영] 시간 관리

홍석환 대표 (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 승인 2025-02-02 18:02
  • 수정 2025-02-02 18:21
  • 신문게재 2025-02-03 19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50202095304
홍석환 대표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시간은 같습니다. 1일 24시간, 1주일 168시간입니다. 내가 무엇을 하든 시간은 흐르지만, 그 결과는 다릅니다. 1주일 내내 집을 떠나지 않고 먹고 쉬기만 한 A씨, 1주일 해야 할 일의 결과를 생각하고 치밀하게 시간 계획을 세워 행한 B씨의 결과물 차이는 명확할 것입니다.

많은 사람이 시간 관리 어떻게 하냐고 묻습니다. 시간 관리 어떻게 하세요? 하루를 보낸 다음 후회하지 않나요? 시간 관리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계획, 의지 그리고 결과 아닐까요? 직장인이라면, 출근하는 날에는 갈 곳, 할 일, 만나야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기상해 출근 준비, 출근, 주어진 시간에 할 일을 하고, 퇴근 준비, 퇴근까지는 비슷합니다.

2가지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하나는 일하는 방식의 차이입니다. '주어진 순간에 무엇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느냐?'가 결과를 결정합니다. 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가? 결과를 내기 위해 어떤 방안과 방법으로 계획을 세웠는가? 얼마나 몰입하느냐? 의지와 열정이 결과의 차이를 가져오는 기준이 될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퇴근 후의 시간 관리입니다. 휴식을 취하며 가족과 행복한 시간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잠자는 시간까지 계획, 의지, 결과를 이어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여유 시간을 어떻게 활용했는가에 따라 삶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시간 관리를 잘했던 선배를 만나 3가지 조언을 들었습니다. 첫째, 길고 멀리 봐야 한다. 인생은 결코 짧지 않다. 둘째, 임박해 무엇을 하려고 하지 마라. 반드시 사전 계획과 준비를 해라. 셋째, 휴식의 중요성을 알고 활용해라. 선배는 50분 일에 10분 휴식보다는 100분 일하고 20분 쉬라고 합니다.



매일 아침, 당일 해야 할 6가지 우선순위 과제를 정합니다. 대략 소요되는 시간을 정하고, 하루 시간 중 무엇을 언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결정합니다. 정했으면 즉 실행입니다. 의지와 열정이 뒤따르지 않으면 결과는 창출되지 않습니다. 퇴직 후, 수많은 방해 요인이 있습니다. 결국 시간 관리도 결과를 창출하기 위해서 절박함이 가장 중요하네요.

/홍석환 대표 (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2. '카카오같이가치' 난방유 지원 ‘난방 온(溫), 행복 ON’
  3. 새들뫼키움어린이집,바자회 수익금 기부
  4. 충남, 영화.드라마 촬영지로 각광
  5. '충남 방문의 해' 지자체 연계 관광 활성화 나서
  1. [월요논단] 2025년 대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2. 아산시 송악면 사랑나눔회, 저소득층 가구에 떡국-계란 나눔행사 펼쳐
  3. 아산시, 구인-구직 소통 통해 일자리 창출 적극 나서
  4.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5. ‘울산시장 선거개입 혐의’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 무죄 받을까

헤드라인 뉴스


철도지하화 사업 기반 확보…대전도 올해는 속도낼까

철도지하화 사업 기반 확보…
대전도 올해는 속도낼까

정부가 철도지하화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대전지역에서 추진하는 철도지하화 사업이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는 1월 31일부터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이하 철도지하화통합개발법)' 시행령·시행규칙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법안은 철도지하화와 철도부지 개발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1월 30일 제정된 특별법의 하위법령이다. 법령에는 역세권 중심의 고밀 복합도시 조성을 위한 특례를 확대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 및 개발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한 내용이 담겼다. 특례의 핵..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대전시가 국내 일류 바이오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종료와 바이오특화단지 지정이 교차하는 중대 변곡점에서 각종 규제개선, 연구시설 인프라 구축 등 기존 성과를 바탕으로 기술혁신과 신약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패권을 가져오겠다는 전략이다 대전은 아직 수도권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발표한 지난해 12월 2023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바이오기업은 서울, 경기지역에 가장 많다. 바이오기업 본사는 서울 286개, 경기 3..

대전서 10년새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비빔밥... 대표메뉴 40~60% 상승률
대전서 10년새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비빔밥... 대표메뉴 40~60% 상승률

대전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주요 외식 메뉴 중 지난 10년간 비빔밥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인 서민 음식인 자장면 가격도 60% 인상되면서 외식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2024년 12월 기준 대전의 7개 외식 메뉴 가격은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60%가 넘는 인상률을 나타냈다. 해당 기간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비빔밥으로, 2014년 12월 6000원에서 2024년 12월 1만원으로 66.6%나 인상됐다. 직장인들이 점심시간 즐겨찾는 김치찌개 백반도 해당 기간 60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