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구 방역 가동반이 위생 취약지역에 대한 방역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대전 유성구) |
2일 유성구에 따르면 최근 행정안전부가 지방자치단체의 안전 분야 역량을 종합해 발표한 '2024년 지역 안전지수'에서 대전·충남 기초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양호지역'으로 선정돼 2년 연속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
행정안전부가 시행하는 지역 안전지수 평가는 교통사고·화재·범죄·생활안전·자살·감염병 등 안전과 밀접한 6개 분야별로 지자체의 안전 관리 역량을 5개 등급으로 산정한다. 6개 모든 분야에서 1~2등급을 받은 '우수지역'에는 과천, 의왕, 계룡 3개 지자체가 이름을 올렸으며, 6개 모든 분야에서 하위 등급(4~5등급)이 없는 '양호지역'에는 유성구를 비롯한 전국 25개 지자체가 선정됐다.
유성구는 교통사고·생활안전·자살 분야에서 2등급, 화재·범죄 분야 3등급을 받은 데 이어 감염병 분야에서 안전 1등급을 달성했다. 사회 안전지수에서 감염병 분야는 지역사회의 보건의료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1등급으로 선정된 기초 지자체는 전국 기초 지자체 가운데 19곳에 불과하다.
감염병 분야에서 이처럼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우선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이와 함께 유성구의 2024년 법정 감염병 신고·처리 기한 준수율은 전국 평균을 웃도는 99.3%로 신속한 감염병 대응 수준을 나타냈다.
실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유동 인구 증가 등으로 관내 1~3급 법정 감염병 신고 건수는 2023년 347건에서 2024년 888건으로 2.5배 이상 증가했으나 사망자는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유성구는 감염병에 대한 신속한 대응뿐만 아니라 예방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기후 온난화 등에 따른 신종 해충에 의한 감염병을 조기에 예방하기 위해 주택 밀집 지역의 정화조, 오수관, 교외 농촌 등 지역 특성에 맞춘 방역 소독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또, 2023년부터 1억 1,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공원, 천변 산책로 등 야간 시간대 이용이 많은 다중이용시설 및 위생 취약지역에 해충유인살충기 297대를 운영 중이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감염병 발생 초기 적극적인 대응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선제적 예방 활동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감염병 안전 1등급을 달성할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도 구민 안전을 최우선에 두는 행정을 펼쳐 다른 분야에서도 안전 지수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