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살이 43년차 이봉걸, 씨름 부활의 열쇠는 근성과 사명감

  • 스포츠
  • 스포츠종합

대전살이 43년차 이봉걸, 씨름 부활의 열쇠는 근성과 사명감

전설의 씨름인 이봉걸, 후배들에게 당부의 메시지
부상과 장애와 싸우고 있는 천하장사 그의 삶
제2의 고향 대전, 내가 말하는 대전 그리고 충청도
씨름의 부활, 지도자-선수 사명감 가져야

  • 승인 2025-02-03 15:49
  • 수정 2025-02-03 17:34
  • 신문게재 2025-02-03 8면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DSC03474
이봉걸 대전씨름협회 고문이 지난달 23일 대전씨름협회장 이취임식에 참석 후 중도일보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금상진 기자
"선수와 지도자 모두 근성이 있어야 해요, 사명감을 가져야 씨름이 부활합니다."

천하장사 이봉걸(대전씨름협회 고문)이 민속씨름의 부활을 위한 메시지를 전했다. 10대·12대 천하장사와 백두장사 4회를 거머쥐며 씨름계의 전설로 불렸던 이봉걸은 은퇴 이후 대전에 정착하며 43년째 살고 있다. 대전씨름협회 전무이사와 대전씨름협회장, 대전지체장애인협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전씨름협회 고문을 맡고 있다.

지난달 23일 대전씨름협회장 이·취임식에 참석한 이봉걸 고문은 오랜만에 만난 씨름계 후배들과 인사를 나눴다. 이날 행사장에는 90년대 중반 '씨름계 황태자'라 불렸던 이태현 용인대 무도 스포츠학과 교수도 참석했다.

이 고문은 시종일관 자리에 앉아 인사를 받았다. 선수 시절 잦은 부상이 은퇴 후 후유증으로 이어져 2002년 장애 6급 판정을 받았다. 여기에 수년 전 골다공증이 더해지며 지팡이가 없으면 생활이 불가하다. 이 고문은 "지금은 척추가 내려앉은 상황이다. 얼마 전 허리를 세우는 시술을 하고 집에서 근력 운동을 하고 있는데 재활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이 고문에게 대전은 제2의 고향이다. 경북 안동 출신으로 충남대 진학을 계기로 대전과 인연 맺었다. 그는 "40년 넘게 대전에 살고 있으니 고향이라 해도 무방하다. 사람들은 좋은데 사실 속을 잘 모르겠다. 모든 면에서 한 번에 결정하는 법이 없다"며 "우리 경상도 스타일과는 다른 점이 많아 아직도 소통이 안 될 때가 많다"고 말했다.



이 고문은 민속씨름이 전성기였던 80년대 중반 이만기, 이준희와 더불어 모래판 3대 장으로 불렸다. 이만기와의 천하장사 결정전 당시에는 9시 뉴스까지 뒤로 미뤄 중계할 정도로 최정상의 인기를 누렸다. 이 고문은 "전성기 시절도 기억에 남지만 1989년 천하장사 결정전이 기억에 남는다. 당일 아침을 먹다 머리카락이 목에 걸리며 구토까지 했다. 오죽하면 자기 코너도 제대로 찾지 못할 정도로 몸이 지쳐있었다"며 "경기 전 먹으려 했던 초밥도 누가 훔쳐 먹어서 허기진 상태로 결승에 임했는데 결국 2-3으로 역전패했다. 그날이 나의 마지막 천하장사 결정전이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DSC03415
이봉걸 대전씨름협회 고문이 지난달 23일 대전씨름협회장 이취임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남기고 있다. 금상진 기자
과거의 명성과는 비교가 불가하지만 지금도 많은 씨름인이 전통 민속 씨름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 고문은 "요즘은 선수들도 지도자도 씨름에 대한 애착이 덜하고 열의도 예전 같지 않다. 씨름은 근성이 있어야 한다. 지도자가 선수에게 끌려다니는 상황에서 뭐를 더 할 수 있겠느냐"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내가 선수 생활에는 연습 한 번에 100판 넘게 뛰었다. 그만큼 근성이 있어야 한다. 선수 본인의 노력이 8할이면 2할은 지도자가 이끌어 줘야 한다. 사명감이 없으면 씨름이 부활도 발전도 없다"고 강조했다.

지역 씨름인들에게도 한 마디 남겼다. 이 고문은 "대전은 물론 씨름인들 모두 자리에 연연하지 말고 본인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어떤 일에 임하든 열정을 갖고 재미를 느껴야 다치지 않고 오래 할 수 있다. 대전에도 많은 후배들이 있다. 이들이 내가 씨름하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나도록 이끌어준다면 씨름의 전성기는 다시 찾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2025년 대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2. 충남, 영화.드라마 촬영지로 각광
  3.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4.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5. 대전 교육공무직 결원 채용은 교원 부담… 체계적 선발시스템 절실
  1. 대전 중구, 문화2동 공영주차장 조성 완료
  2. [DSC 공유대학] '공동학위·산학협력·공공기관 연계' 지역 인재 양성 중심 '우뚝'
  3. (사)대전시지체장애인협회-(주)아이씨푸드 장애인 드론교육 입교식
  4. NST 김영식 이사장 취임 조직 개편·인사 단행… 미래전략소통실 신설
  5. 송강사회복지관 ‘사랑해孝 설잔치’

헤드라인 뉴스


경제 성장 역행한 대전 고용시장…맞춤형 지원정책 시급

경제 성장 역행한 대전 고용시장…맞춤형 지원정책 시급

대전 고용시장이 최근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산업 구조가 서비스업에 치중된 데다, 청·장년층 인구 감소세 등이 고용시장의 위축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고용시장의 경직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을 야기하기 전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경제조사팀이 3일 발표한 '최근 대전지역 고용 상황의 주요 특징 및 평가'에 따르면 대전은 2023년 하반기 이후 전국 및 5대 광역시 대비 양호한 경제 성장세가 지속하고 있지만, 서비스업..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가 무역수지 흑자 전국 1위와 수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의 지난해 수출액은 총 926억 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도(1614억 4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출액이다. 2023년 793억 9300만 달러에 비해 16.6% 증가한 규모다. 충남은 2023년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시장 침체로 인해 자동차·화물선 호황 수혜를 입은 울산에 수출 2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나 2024년에는 반도체 호황과 정보통신(IT)·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에서의 호실적, 도의 공격적인 해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향후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15%가량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이 적어지며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드는 게 원인으로 꼽힌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 톤, 2026년 269만 톤, 2030년 253만 톤, 2035년 233만 톤 등으로 매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를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하면 14.7% 적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것이다. 2014~2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