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걸 대전씨름협회 고문이 지난달 23일 대전씨름협회장 이취임식에 참석 후 중도일보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금상진 기자 |
천하장사 이봉걸(대전씨름협회 고문)이 민속씨름의 부활을 위한 메시지를 전했다. 10대·12대 천하장사와 백두장사 4회를 거머쥐며 씨름계의 전설로 불렸던 이봉걸은 은퇴 이후 대전에 정착하며 43년째 살고 있다. 대전씨름협회 전무이사와 대전씨름협회장, 대전지체장애인협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전씨름협회 고문을 맡고 있다.
지난달 23일 대전씨름협회장 이·취임식에 참석한 이봉걸 고문은 오랜만에 만난 씨름계 후배들과 인사를 나눴다. 이날 행사장에는 90년대 중반 '씨름계 황태자'라 불렸던 이태현 용인대 무도 스포츠학과 교수도 참석했다.
이 고문은 시종일관 자리에 앉아 인사를 받았다. 선수 시절 잦은 부상이 은퇴 후 후유증으로 이어져 2002년 장애 6급 판정을 받았다. 여기에 수년 전 골다공증이 더해지며 지팡이가 없으면 생활이 불가하다. 이 고문은 "지금은 척추가 내려앉은 상황이다. 얼마 전 허리를 세우는 시술을 하고 집에서 근력 운동을 하고 있는데 재활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이 고문에게 대전은 제2의 고향이다. 경북 안동 출신으로 충남대 진학을 계기로 대전과 인연 맺었다. 그는 "40년 넘게 대전에 살고 있으니 고향이라 해도 무방하다. 사람들은 좋은데 사실 속을 잘 모르겠다. 모든 면에서 한 번에 결정하는 법이 없다"며 "우리 경상도 스타일과는 다른 점이 많아 아직도 소통이 안 될 때가 많다"고 말했다.
이 고문은 민속씨름이 전성기였던 80년대 중반 이만기, 이준희와 더불어 모래판 3대 장으로 불렸다. 이만기와의 천하장사 결정전 당시에는 9시 뉴스까지 뒤로 미뤄 중계할 정도로 최정상의 인기를 누렸다. 이 고문은 "전성기 시절도 기억에 남지만 1989년 천하장사 결정전이 기억에 남는다. 당일 아침을 먹다 머리카락이 목에 걸리며 구토까지 했다. 오죽하면 자기 코너도 제대로 찾지 못할 정도로 몸이 지쳐있었다"며 "경기 전 먹으려 했던 초밥도 누가 훔쳐 먹어서 허기진 상태로 결승에 임했는데 결국 2-3으로 역전패했다. 그날이 나의 마지막 천하장사 결정전이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봉걸 대전씨름협회 고문이 지난달 23일 대전씨름협회장 이취임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남기고 있다. 금상진 기자 |
지역 씨름인들에게도 한 마디 남겼다. 이 고문은 "대전은 물론 씨름인들 모두 자리에 연연하지 말고 본인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어떤 일에 임하든 열정을 갖고 재미를 느껴야 다치지 않고 오래 할 수 있다. 대전에도 많은 후배들이 있다. 이들이 내가 씨름하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나도록 이끌어준다면 씨름의 전성기는 다시 찾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