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로 읽는 오늘의 운세] 1월 26일 (일요일) 춘강 구박사가 알려주는 생년월일 금전운은?

  • 운세
  • 생년월일 운세

[카드뉴스로 읽는 오늘의 운세] 1월 26일 (일요일) 춘강 구박사가 알려주는 생년월일 금전운은?

  • 승인 2025-01-25 15:00
  • 중도일보 운세팀중도일보 운세팀
[카드뉴스로 읽는 오늘의 운세] 1월 26일 (일요일) 춘강 구박사가 알려주는 생년월일 금전운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생년월일 오늘의 운세 --- 2025년 1월 26일(음력 12월 27일) 乙未 일요일



子쥐 띠

魚魯不辨格(어로불변격)으로 깊은 산 속에서 화전을 일구고 또 수렵을 하여 먹고 사는 사람에게 글을 물으니 고기어자와 나라노자를 구분하지 못할 정도인 격이라. 가만히 있으면 중이라도 갈 것인데 꼭 앞으로 나서서 창피를 당할 것은 무엇인가.



24년생 돈은 쓰라고 있는 것이라.

36년생 배우자의 병고로 애달프다.

48년생 돈은 반드시 세어보고 받아 두라.

60년생 적당히 움켜 쥐라.

72년생 모아 놓은 것을 사회에 환원하라.

84년생 배우자 외의 이성 주의.

96년생 남들이 놀 땐 나도 노는 것이 좋다.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丑소 띠

隔靴搔?格(격화소양격)으로 게으른 사람이 등산화를 신고 한참을 산에 오르다 마침 옹달샘이 있어 목을 축이고 쉬다가 발이 가려우매 신을 벗지 않고 긁는 격이라. 직접 그곳에 닿는 처방을 써야 할 것인데 어찌 성이 차겠는가 직접 닿게 쓰라.

25년생 힘들다고 절대 표시 내지 말라.

37년생 마음에 둔 상태로 가만 있으라.

49년생 실망하지 말라 좋은 일이 곧 오리니.

61년생 잃어버린 물건은 동북간 방에 있다.

73년생 부부화합이 되는 운이라.

85년생 친구의 말에 귀를 기울이라.

97년생 내가 죽는다 한들 누가 알아 주리.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寅호랑이띠

良藥苦口格(양약고구격)으로 한 나라의 막강한 권력을 가진 사람이 폭정을 일삼으므로 선정을 베풀라고 충언을 하니 이것은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쓴 격이라. 다른 사람의 눈 속에 있는 티끌은 보이나 나의 눈 속에 있는 들보는 보이지 않는 것이라.

26년생 지나간 젊은 날을 회상한다.

38년생 은인을 은인으로 알 것이라.

50년생 이 세상에 독불장군은 없는 것임을 알라.

62년생 부모님께 재산을 분배받을 생각을 말라.

74년생 재산증식의 기회, 전력투구하라.

86년생 오랜만에 용돈이 두둑해진다.

98년생 마음 먹은 대로 이루어진다.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卯토끼띠

八道名山格(팔도명산격)으로 산을 좋아하던 한 외국인이 몇 년 간에 걸쳐 수많은 산들을 돌아보고 팔도의 모든 산들이 명산이라고 감탄해 마지 않는 격이라. 어느 집에 민속품으로 가득 찬 것 같이 내 능력 역시 모든 것이 빛날 수 있는 기회가 왔음이라.

27년생 바랐던 일이 성사되어 환호성을 지른다.

39년생 나의 마음 먹은 대로 다 이룰 수 있으리라.

51년생 자손의 효도를 받고 즐거워 하리라.

63년생 부모님 산소를 가꾸면 좋으리라.

75년생 부모님 생각에 눈물짓는다.

87년생 불효가 아닌가 생각해 보라.

99년생 한 발 양보하고 일단 접어 두라.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辰용 띠

辭色不變格(사색불변격)으로 새옹이 잃었던 말이 새끼를 배서 돌아왔을 때 아들이 말에서 떨어져 다쳤을 때 태연자약하여 말이나 얼굴 색이 변하지 않는 격이라. 누구든 사람들은 기분에 따라 안색이 변하는 법이나 도인은 절대 그렇지 않음이라.

28년생 그 일은 절대 안되니 포기하라.

40년생 잘못한 일은 아랫사람에게도 사과하라.

52년생 자녀의 일로 근심할 운이라.

64년생 나는 나, 그것은 불변의 법칙이다.

76년생 부부싸움은 화를 부른다.

88년생 관재 구설 운을 조심하라.

00년생 친구들과 상의하라 해결될 것이다.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巳뱀 띠

燦燦玉食格(찬찬옥식격)으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고생을 많이 하던 사람이 부지런히 일을 한 끝에 부를 축재하고서는 기름기가 흐르는 쌀밥을 먹는 격이라. 고생 끝에 낙이 오는 것이라고 모든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밝은 미래가 있는 법이라.

29년생 모든 일을 대범하게 대처할 것이라.

41년생 그 일은 힘든 일이니 철수하라.

53년생 그동안 고민했던 일이 해결되리라.

65년생 그것으로 먹고 살았으니 후회 말라.

77년생 믿으라, 복이 따를 것이니.

89년생 자신의 주특기를 살리라.

01년생 나의 속사정을 누가 알랴.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午말 띠

萬里長天格(만리장천격)으로 부모님의 은혜는 높고도 넓은 법이니 이 어찌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할 것인가 이것이 곧 부모님의 은혜는 하늘과 같이 높은 격이라. 부모님이 아니었으면 나 자신이 어찌 이 세상에 태어났겠는가 은혜에 보답하라.

30년생 친구 따라 강남 가게 된다.

42년생 교통사고 주의 특히 흰색 차.

54년생 재산 때문에 형제와 다투게 되리라.

66년생 기쁨과 슬픔이 교차된다.

78년생 친구의 감언이설로 손해 본다.

90년생 휴식을 먼저 취하라.

02년생 어려운 고비는 이제 지났음이라.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未양 띠

滿面羞?格(만면수참격)으로 그동안 남 모르게 죄를 저지르던 사람들이 사법기관에 적발되어 TV에 중계되자 얼굴에 부끄러움이 가득 차 어찌할 줄 모르는 격이라. 사람으로 태어난 부끄러운 줄 모르는 것이 더 큰 업이 되는바 회개하고 회개하라.

31년생 지금이 재산증식의 좋은 기회다.

43년생 부부 함께 원거리 여행을 가라.

55년생 그간의 노력이 헛되지 않았음을 안다.

67년생 배우자로 인한 즐거움이 생긴다.

79년생 배우자 외의 이성을 주의하라.

91년생 현실에 순응함이 좋으리라.

03년생 드디어 때가 왔으니 매기 정진하라.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申원숭이띠

各有所長格(각유소장격)으로 하느님이 인간을 세상에 내려 보낼 때 각자에게 맞는 먹고 살 수 있는 재주를 하나씩 준 것과 같이 각자마다 장기가 있는 격이라. 내가 잘 나가지 않는다고 낙심말고 나에게는 어떤 장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개발하라.

32년생 가족간에 화합을 이룰 운이라.

44년생 인생은 무상함이라.

56년생 친구와의 다툼, 손해 본다.

68년생 욕심 부려 보았자 오히려 손해다.

80년생 노력한 만큼 반드시 소득이 따른다.

92년생 외상거래 사절, 손해 본다.

04년생 참고 견디면 복이 온다.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酉닭 띠

設橋頭堡格(설교두보격)으로 한참 행군을 하고 있는데 큰 강이 가로 놓여 있어 난감해 하던 중 교두보가 가설되어 한시름을 놓는 격이라. 어려운 난관에 봉착되었던 일이 한시름 놓게 될 정도로 풀려 나가게 될 것이니 너무 근심 걱정하지 말라.

33년생 집안에 화재를 조심할 것이라.

45년생 간절히 바랐던 소원이 무산된다.

57년생 여유 자금, 부동산에 투자하라.

69년생 손해보리니 친구와 절대 다투지 말라.

81년생 표창, 포상 등이 있을 운이라.

93년생 상대방의 점수를 따 두라.

05년생 시험 운이 좋으니 무조건 도전하라.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戌개 띠

現實順應格(현실순응격)으로 일이 복잡하고, 순조롭고 하는 일은 모두 하늘의 뜻이니 현실에 순응하면서 살아가야 되는 격이라. 만사는 불여튼튼이니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건너는 지혜가 필요한 때라. 그러면 실패는 없을 것이요, 반사이익을 볼 수 있으리라.

34년생 지구는 둥글다는 진리는 불변이다.

46년생 위장, 소화기 계통 조심.

58년생 맛없는 것부터 먹으라.

70년생 성급하면 도리어 해를 입는다.

82년생 그것이 나에게 유리한 것만은 아니다.

94년생 입에 쓴 약은 몸에 좋은 법이다.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亥돼지띠

命卒之秋格(명졸지추격)으로 위급한 환자가 있으나 다른 방도를 찾지 못하고 수명이 경각에 달려 고통스러워하는 격이라. 사람은 무릇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생각하여 모든 것에 욕심을 부리지 말고 자선과 적선을 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함이라.

35년생 득이 되는 일이 아니니 좋아하지 말라.

47년생 자식들을 생각하여 참으라.

59년생 나도 베풀 때가 되었음이라.

71년생 부모님께 한번 더 문안 드리라.

83년생 가벼운 운동으로 몸을 풀라.

95년생 하나가 가면 둘이 온다.

금전 △ 매매 ○ 애정 ○ 직장 ×



자료제공=춘강 구홍덕 박사(구박사인생클리닉) · 정리=김현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8개 잔여공구 발주 요청… 건설업계 '예의주시'
  2. 완성형 행복도시의 미래 '5~6생활권'...앞으로가 중요
  3. '올해가 마지막' 지역대 글로컬대학30 향해 막판 스퍼트
  4. [사설] 지자체 재난관리기금이 의료공백 ‘쌈짓돈’인가
  5. [2025 대전서부교육청] 박세권 교육장 "직원들 힘 합쳐야 일선 학교에 효과'"
  1. [사설] 지역 수출기업 '관세전쟁' 파고 대비를
  2. 충남도, 올해 첫 추경으로 소상공인 현물 지원 575억 반영 요구
  3. [2025 대전서부교육청] 인성과 학력, 균형 잡힌 교육으로 미래 준비
  4. 대전교육청 AI디지털교과서 희망 학교대상 도입… 구독료 미정 등 혼란할 듯
  5. [춘하추동]20년 후 우리의 미래는?

헤드라인 뉴스


대전지역 사립대 등록금 줄인상 "재정 부담으로 불가피"

대전지역 사립대 등록금 줄인상 "재정 부담으로 불가피"

대전권 대학들이 장기간 등록금 동결로 인한 재정 부담을 견디지 못하면서 십 수년 만에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다. 등록금을 내야 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치솟는 물가상승률에 학비 인상까지 더해져 시름이 깊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5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대학 등록금심의위원회 결과 대전대를 제외한 4년제 사립대 모든 곳이 등록금을 인상한다. 이 중 한남대가 5.49%로 인상 폭이 가장 크다. 한남대는 2011년 인문대학, 간호대학 등 특정 단과대학에 한해 등록금을 최대 7.7% 인상한 바 있다. 그러나 2012년 5% 인하를 시작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지방 미분양 급증…비수도권 ‘DSR 한시 완화’ 등장할까
지방 미분양 급증…비수도권 ‘DSR 한시 완화’ 등장할까

지방을 중심으로 악성 미분양 사태가 급증하면서 비수도권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한시 완화 시행 여부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당은 DSR 한시 완화를 통해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구입을 촉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최대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 173세대로 집계됐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 6997세대로 전월보다 17.3%(2503세대) 늘었고, 지방은 5만 3176..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 한파에 폐렴 위험까지…마스크 쓴 시민들 한파에 폐렴 위험까지…마스크 쓴 시민들

  •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