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증외상 치명률, 중증장애율, 장애율 그래픽. (질병관리청 제공) |
질병관리청은 22일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2023년 통계를 발표하고, 지역별 119구급대가 이송한 중증손상과 다수사상 환자 발생 현황을 공개했다. 중증외상은 외상 환자 중 의무기록조사를 통해 산출한 손상중증도점수가 16점 이상이거나 병원 도착 전 심장정지 또는 사망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통계 결과 2023년 국내 중증외상 환자는 8192명으로 남성이 72% ,여성이 28%로 나타났다. 중증외상 환자의 치명률은 54.7%로 2016년 60.5%보다 약간 개선된 것으로 파악됐다. 생존자 중 73.8%에게선 장애가 발생했고 28.8%의 환자는 중증장애를 입었다. 중증외상을 입은 원인을 보면 절반 가까이는 자동차와 오토바이, 퀵보드 등 운수사고(49.1%)로 인해 발생했고, 추락·미끄러짐 사고도 43.8%이었다.
지역별 중증외상 환자가 발생한 사건을 보면 대전은 2022년 162건에서 2023년 219건으로 증가했고,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 역시 11.2%에서 15.2%로 높아졌다. 대전 중증외상환자 발생률(15.2%)은 서울(9.7%), 부산(13.4), 대구(9%)보다 높았다. 충남에서는 2023년 543건의 중증외상 사건이 발생해 발생률 25.6%이었고 충북 401건에 발생률 25.2%이었다. 중증외상 환자를 119구급대가 의료기관으로 이송해 병원에 도착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대전 25분, 충남 39분, 충북 39분이었다. 세종에서는 평균 42분 소요됐는데 이송시간 가장 오래 소요된 지역은 강원(46분)이었다.
대전은 인구 10만 명 당 비외상성 중증손상 발생율도 2023년 34.2%로 제주도를 제외한 8개 특·광역시 중 가장 높았고, 6명 이상 다수사상 환자 발사고 발생률도 마찬가지로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중증외상의 치명률이 감소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중증외상은 생존하더라도 평생 장애가 남을 수 있어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을 초래한다"라며 "국가 차원의 관리와 개인의 인식제고가 함께 이뤄져야 할 사안"이라고 당부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