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면에서 지역도 전 세계 흐름과 같이 가는 '글로컬' 시대다. 트럼프 2기의 보편적 관세 부과 정책이 본격화기 전에 세계 경제는 하방 위험의 적신호가 켜졌다. 자동차, 배터리, 반도체, 철강 등 수출 의존도가 높은 주력산업은 특히 혁신과 고부가가치화로 기민하게 대응할 때다. 미국의 자국 중심 공급망 재편 강화에 맞서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책도 요구된다. 고개 드는 경제 불확실성 지수에 지역 기업이 이겨낼 해법은 혁신과 고부가가치화다.
미국 우선주의에 잘 대응하지 못 하면 지역 이익을 침해당할 가능성이 고조돼 있다. 다시 직면한 트럼프 리스크다. 원·달러 환율도 견디기 힘든데 미국의 중국 견제는 지역 중간재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첫날부터 파리기후협정에서 탈퇴한 만큼 재생에너지, 친환경 기술 관련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산업 전반과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줄 변수가 된다.
지역경제는 생산, 소비, 투자의 트리플 부진에 비해 수출만은 훨훨 나는 편이었다. 하지만 지난주 글로벌 해상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전주 대비 159.86포인트 내렸고 올 들어 14.9%가량 떨어졌다. 세계 교역량이 급속도로 위축되리란 걱정이 반영된 지표다. 계엄과 탄핵 시국이 겹쳐 대부분의 경제지표는 불안한 상태다. 정부와 소통하면서 지역경제 침체를 완화할 지자체 역할이 강화돼야 할 것이다. 트럼프 시대엔 지자체 차원의 통상 전략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