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먼저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를 포함해 국제유가가 일제히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첫날부터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미국 내 석유·천연가스 증산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WTI 선물 가격은 21일 오후 4시40분(이하 한국시간) 기준 배럴당 76.42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0.97달러(-1.25%) 하락했으며, 천연가스도 MMBtu(25만㎉ 열량을 내는 가스량)당 한때 3.776 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1.72달러 하락했었지만, 현재는 3.904달러까지 회복한 모양새다.
가상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도 급락했다. 비트코인은 전날 1억6332만5000원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취임식 직후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오후 4시40분 기준 1억 5322만 원까지 하락했다. 알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코인들 역시 평균 4% 이상 하락하며 동반 약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보편관세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국내 증시는 물론 원·달러 환율에도 소폭 영향을 미쳤다.
이날 오전 9시 9분께 코스피 지수는 전일 종가대비 1.21% 오른 2548.44를 기록한 뒤 점차 하락세를 보이며 -0.08% 내린 2518.03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733.91로 고점을 기록한 뒤 726.33으로 마감했다.
최고점을 경신해오던 원·달러 환율은 이날 오전 전일 종가대비 18.8원 떨어진 1432.9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1430원대 환율은 종가 기준 지난달 17일(1434.5원) 이후 처음이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오후 3시 25분 기준 1439.10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연설에서 중국 등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 조치를 밝히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초 트럼프는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멕시코 및 캐나다에는 25%를, 전 세계 모든 수입 품목에 10~20%의 보편관세 부과를 선언하는 등 즉각적인 관세 조치를 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지역 경제계는 고환율에 보편관세까지 더해질 경우 수출기업들의 이중고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단체 한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이 가장 주목하는 원·달러 환율이 오늘 오전 한때 하락했지만,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고 앞으로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자국 우선주의 보호무역 등 보편관세를 강조한 만큼 통상 리스크는 여전하다"면서 "원자재를 수입해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들의 경우 고환율로 지금도 어려운데, 관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까지 떨어지게지면 커다란 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