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주환경시험시설 조감도<제공=진주시> |
이번 개정된 지침은 혁신도시 이전기관이 비수도권으로 이전할 경우에도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와 국토교통부 장관의 승인을 받도록 규정했다.
개정 배경에는 국방기술진흥연구소의 부서 이전 추진이 있다.
연구소는 2022년 5월 혁신기술연구부의 대전 이전에 이어 2024년 획득연구부의 대전 이전을 추진했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올해 1월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을 잇달아 만나 "혁신도시 이전기관의 타 지역 이전은 국토균형발전 취지에 위배된다"며 법률개정을 강력히 요청했다.
진주시는 혁신도시 활성화를 위한 성과도 거두고 있다.
경상국립대학교와 협력한 맞춤형 인력양성 교육으로 417명의 교육생 중 211명이 취업에 성공했으며, 39명이 경남·울산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에 입사했다.
정주여건 개선에도 힘쓰고 있다.
2021년 물초울공원 개장, 2023년 복합혁신센터 개소 등 기반시설을 확충했다.
2025년에는 다목적 광장과 복합문화도서관이 개관될 예정이다.
진주시는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이전공공기관들과 협력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세라믹섬유융복합 소재활용 사업화와 초소형위성 개발 등이 대표적이다.
조규일 시장은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진주시와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진주=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