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KTX 세종역 입지로 남겨진 금남면 발산리 장재터널 인근 모습. KTX 고속열차가 지나고 있는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
실제 시가 올해 공개한 업무계획을 보면, KTX 세종역 건설은 장기 대응 사업으로도 담기지 않았다. 초점은 국토교통부와 충청권 지자체를 연계한 CTX 추진에 맞춰져 있다.
조치원역 KTX 정차에 이어 KTX 세종역 신설마저 난제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KTX 세종역 간이역사 설치의 제1후보지인 금남면 발산리 장재터널 일대는 기술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판정을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바 있다. 공주와 오송 KTX 역의 성장을 원하는 충남·충북의 반대도 여전하다.
시가 금남면 일대 38.39㎢ 구역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여부를 고심하는 이유로 다가온다. 2025년 5월 30일까지 지난 2년 간의 지정 만료를 앞두고 있다. KTX 세종역 건설이 요원해진 상황에서 민간의 자연스런 토지 거래를 계속해서 막아 나설 명분도 줄고 있다.
정부부처 공직자들 사이에선 KTX 세종역 입지의 변경 추진 필요성이 흘러 나온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이 빠르면 2027년 하반기, 국회 세종의사당이 2031년 완공을 예고한 만큼, 세종동(S-1생활권) 국회 입지 인근으로 역사를 옮겨야 한다는 판단이다.
정부부처의 한 관계자는 "KTX 오송역 수요의 많은 부분이 정부세종청사와 국책연구단지를 오가는 방문객으로 분석된다"며 "향후 대통령실과 국회 근무자들이 수천명 내려올 경우, 이용 수요는 크게 늘 수 밖에 없다.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야 오송역으로 대중교통 이용 시간과 오송역~서울역까지 열차 이동 시간(약 47분)이 비슷한 아이러니를 해소할 수 있다. 청사 방문객들이 택시나 대중교통으로 인한 이중 부담도 줄일 수 있다"며 "세종시의 미래 문화관광 핵심 축인 중앙녹지공간의 활성화와도 연결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관건은 현실화에 있다. 1월 19일 윤석열 대통령의 법정 구속에 따른 조기 대선 가능성을 십분 활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시각에선 CTX가 충청권 내부 이동 편익 확대를 넘어 KTX 고속열차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실제 올 하반기 공개될 민자적격성 검토 과정은 ▲정부대전청사~세종시(정부세종청사 포함)~조치원역~오송역~청주 도심~청주공항 연결 CTX ▲조치원역~천안역~서울역으로 이어지는 수도권 전철 연장이란 2개 축으로 전개되는 모습이다.
2034년 충청권 CTX 노선안(좌)과 기대효과(우). 수도권 전철 연결 흐름과 청주로 이어지는 충청권 연결 안 등 모두 2개 축이 검토되고 있다. 사진=국토부 제공. |
세종시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GTX와 달리 충청권 CTX는 이용 수요 면에서 부족한 게 사실이다. 정부 입장에선 민자로 하더라도 사업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결국 내판역을 지나는 기존 선로를 활용해 CTX를 수도권 전철 노선과 연결하는 방안이 채택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KTX 세종역 기능을 흡수하는 차선책으로 다가온다.
우려 지점은 있다. 민자 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노선 선택의 제1순위가 수익성에 있어 경유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난해 개통한 GTX 사례가 이를 보여준다. 일산 킨텍스에서 서울역까지 기존 지하철은 50분 정도 소요됐는데, GTX로는 경유 없이 16분 만에 연결하고 있다. 시속이 180km/h를 오가는 이유도 있으나 역사를 최소화한 효과다. 서울시민들은 기존 지하철에 GTX까지 촘촘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받게 된 셈이다.
서울과 달리 지하철과 고속 열차란 2가지 기능을 동시 수행해야 하는 CTX가 대전~세종~충북 구간을 그물망처럼 정차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이춘희 전 시장 재임 시절 검토된 KTX 세종역과 ITX 세종역 건립 구상안. 사진=세종시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