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환 대표 |
지금 기업은 누구와 경쟁하고 있나요? 국내 시장 1위이지만, 글로벌 시장에 나가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글로벌 경쟁 기업들은 자금, 시장, 기술, 성숙한 문화로 앞서갑니다. 이들이 주 40시간, 워라밸, 회사와 직무에 대한 낮은 로열티, 지시 불응, 집단행동을 인정할까요? 이들과 경쟁할 후발 기업의 직원들이 능력은 부족하면서 안정과 편안함을 추구한다면 그 결과는 불 보듯 뻔할 것입니다.
지인이 국내 대학에서 인턴을 채용하는데, 외국인 학생과 국내 학생이 각 2명 선발되었답니다. 외국인 학생은 지시에 순응하고, 주어진 일은 몰입해 마무리 짓고 퇴근합니다. 근무하는 동안 최선을 다합니다. 국내 학생들은 자신은 이런 하찮은 일을 할 사람이 아니라는 듯 행동하고, 상사 개념도 없습니다.
자신은 학생이고, 인턴이라는 생각 없이 수업을 이유로 온종일 자리를 비웁니다. 국내 인턴들이 직장인이 된다면 생각과 자세가 바뀔까 걱정이라고 한탄합니다. 세계 1위의 기업은 차별화된 경쟁력이 있습니다. 1위로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변화를 읽고 방향을 정해 선도해야 합니다. 블록버스터, 코닥, 노키아 등 많은 1위 기업들이 안주하다 어떻게 되었나요? 산업, 회사, 직무, 직원에 따라 다양성을 인정하고, 국내가 아닌 글로벌 경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국가와 기업 모두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가 글로벌 경쟁 우위에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자동차, 철강, 화학, 정보통신, 조선 사업이 있습니다. 이들 산업의 연구 개발 센터의 불이 꺼지고 모두가 8시간만 근무하고 퇴근합니다. 반도체 설계를 하는 고부가가치 직원과 단순 반복의 가치 낮은 일을 하는 직원을 노동자라는 틀 속에 넣고,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차별하지 않으면, 나라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은 어떻게 될까요?
/홍석환 대표 (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