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준비도, 일자리 찾는 것도 아니었으니, 아내가 보기에 얼마나 한심하였으랴. 게다가 때때로 예술 하는 후배들이 찾아와 소주잔을 기울였다. 가진 게 없으니 즐길만한 안주가 있을 리 없었다. 개다리소반에 눈물겹게 마련한 두세 가지 푸성귀가 전부였지만, 술자리는 곧잘 길어지곤 했다. 미래가 불투명한 것을 넘어 어둠뿐이었을 터인데, 예술가는 그런 것이라 생각했을까? 지금 생각하면, 인내하고 함께 해준 아내가 고맙기만 하다.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부신독서(負薪讀書)'란 고사성어가 있다. 직역하자면 '땔나무를 지고 책을 읽다'이다. 중국 전한 중기 주매신(朱買臣, ? ~ BC 115년)이란 사람이 있었다. 가난하여 땔나무해서 져다 팔아 생계유지를 하였다. 책이 좋아 등짐지고도 부단히 독서를 한다. 이런저런 연유로 공손홍과 논쟁에 이겨, 50 넘은 나이에 한무제에게 중용 된다. 이어 뛰어난 계책으로 적을 물리쳐 고향 회계의 태수가 된다. 후에도 승승장구하여 승상장사에 이른다. 대기만성과 같은 뜻으로 '주매신 오십부귀(朱買臣 五十富貴)'라고도 한다. 어려움 속에서도 부단히 공부하면 언젠가 입신양명한다. 언제 어디서고 독서하라 이른다.
그의 아내는 참지 못하여 40 무렵 이혼하고 다른 남자에게 간다. 주매신이 태수가 되어 돌아와 새로운 남편과 함께 관사로 불러 거처하게 하고 생활비도 대주었는데, 한 달여 만에 죽음을 택한다. 가난하고 무기력한 주제에 낚시나 하던 강여상의 아내 역시 그의 곁을 떠난다. 훗날 강태공이 주나라 재상이 된다. 아내가 다시 함께 할 것을 요청하자, 엎어진 물은 동이에 되돌려 담을 수 없다며 거절한다. 둘 다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覆水不收, 覆水不返)' 고사성어의 유래가 된다. '주매신의 아내(買臣之妻)'라고도 한다.
어쩔 수 없는 선택 아니랴, 그럼에도 조강지처(糟糠之妻)가 되지 못한 것을 나무라는 듯하다. "군자는 자신에게 허물이 없는가를 반성하고, 소인배는 잘못을 남의 탓으로 들춰낸다.(君子 求諸己, 小人 求諸人. - 論語 衛靈公篇)"라 덧붙여 어려움이 부인에게도 책임이 있다 설명한다.
아무리 혼란스럽고 어려운 상황이라도 할 일은 해야 한다. 전쟁 중에도 밥은 먹어야 하고 미래 또한 준비해야 한다. 필자는 그리하지 못했으나, 막연히 했던 독서가 오늘날 글쓰기와 직무수행의 밑거름이다. 아내도 도망가지 않아 천만다행이다.
<부신독서도>, 견본담채, 16.1 × 22.1cm, 서울대학교 박물관 |
그림에 비해 화제가 크게 쓰여, 여백을 가로막고 있다. 산 중턱 탑이나 커다란 바위와 무성한 나무, 계곡을 가로지르는 다리 등이 심산유곡임을 절로 느끼게 한다. 숲속 비탈길로 땔나무 등에 진 사람이 책 읽으며 내려온다. 표정이 참 진지하다. 익숙한 길이라도 쉽지 않을 터이다. 하고 싶어 하는 일엔 고달픔도 사라진다. 빼어나진 않지만, 풍부한 상상력으로 고사를 그려냈다.
독서, 수없이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책만큼 시공 초월한 진지한 만남이 없기 때문이다. 때로는 기획 독서도 필요하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