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내마을~사상공원간 보행환경개선사업 조감도./부산시 제공 |
'괘내마을~사상공원간 보행환경개선사업'은 소외된 마을에 보행 전용로를 설치해 주민들이 생활서비스 시설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상한 '사람' 중심의 15분도시 구조 개편의 대표적인 사례다.
이 사업은 2026년 2월 준공을 목표로 총사업비 123억원이 투입된다. 보행 전용 육교는 총연장 198m 규모이며, 지형적 단차를 극복하기 위해 설치되는 2대의 엘리베이터를 감싼 원형 구조물 최상단부는 시야가 개방돼 전망대 기능의 복합 휴게공간으로 조성된다.
사업이 완공되면 괘내마을에서 백양대로뿐만 아니라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사상공원 '사상 숲 체험교육관'까지 직접 연결된다. 또 공중 보행로와 바로 연결되는 사상역 육교를 통해 서부터미널과 도시철도, 부산~마산 복선전철까지 동선이 단축된다.
시는 올해(2025년) 개방되는 사상역 앞 도시바람길 숲(38억원)과 '15분 도시 대표생활권 해피챌린지' 사상광장로 그린카펫(65억원)까지 함께 완공되면, 공중 보행로는 동·서 보행 교류를 중심으로 도시와 숲, 문화 광장을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단절된 마을을 경부선 역사, 공원 등 주변 기반 시설과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하는 공중 보행로를 설치해 친환경 이동 수단이 중심이 되는 도시를 조성하고, 국가정원 지정을 추진 중인 삼락생태공원까지 보행권을 확장해 서부산 보행축의 상징적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전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