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세종시 중앙공원에서 열린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 전경. 사진=세종시 제공. |
2022년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와 2023년 가든쇼 개최 흐름을 살려가며, 중앙녹지공간의 잠재력 극대화를 기대했으나 집행부와 의회 간 엇박자가 나면서다. 그 사이 민주당에서 국민의힘으로 단체장이 바뀌면서, 일관된 정책 추진도 이뤄지지 못했다.
이춘희 전 정부는 전남과 아산이 지방정원 준비를 해온 사이 뚜렷한 마스터플랜을 실행하지 못했고, 최민호 시 정부는 2026년 국제정원도시박람회에 초점을 맞춘 정책에 우선 순위를 뒀다.
권영석 국장이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정원도시 비전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세종시 제공. |
그는 "이춘희 시장 시기 무궁화 동산 가꾸기를 활발히 전개했고, 정원 아이템이 산업·관광 자원으로 유효하게 활용되기 위한 노력을 전개했다"라며 "현재는 정원박람회를 모멘텀으로 삼으려 했으나 여의치 않았다. 집행부가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온 박람회 무산은 매우 안타깝다"고 설명했다.
2025년 '정원 속 도시' 조성을 정책적으로 지속 추진해 나가면서, 새로운 길을 찾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지난해 산림청 공모사업에 선정된 '정원도시 조성사업'의 기반 마련 연구용역을 통해서다. 2029년까지 국·시비 매칭 296억 원을 투입, 기본·실시설계를 거쳐 100개 정원 조성 및 활동 지원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정원도시과를 신설, 체계적 대응을 유도하면서, 정원도시가 새로운 먹거리 창출과 지역경제에 활력이 되는 주요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산림청의 실습 정원 공모 사업 신청부터 아름다운 정원 경연대회 내실화 등의 기반도 다진다.
관련 법상 지방정원 등록 요건. 사진=국가법률정보센터 갈무리. |
한편,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방정원 지정 요건은 총면적 10만㎡ 이상, 이중 40% 이상의 녹지면적 확보를 기본으로 한다. 이에 더해 정원 조성이 가능한 체험시설(연간 이용 인원수를 고려한 규모 설정), 주차장 및 화장실의 편의시설,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을 위한 쉼터, 안내판, 음수대, 휠체어·유모차 대여시설 및 매점 등의 편의시설, 정보 제공 및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안내실 및 관리실 조직을 갖춰야 한다.
매년 수십억 원의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국가정원으로 나아가려면, 지방정원 등록 후 3년이 지나야 한다. 지정요건은 면적 등이 커지고 대체적인 내용은 유사하다. 순천만 국가정원은 지난해 기준 40억 원,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은 21억 원을 받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