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 유수 기업들이 소재한 실리콘밸리에 교육연구기관이 즐비하듯 베이밸리에는 34개 대학, 23만 개 기업이 둥지를 틀었다. 베이밸리의 지향점도 글로벌 디지털 수도다. 포럼에 나선 발제자들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의지와 뛰어난 인재를 받아들인 개방성에서 성공 요인을 찾는다. 인재가 정착할 환경 조성이라는 지혜를 구했다는 점은 상당히 중요하다.
정부가 스타트업을 적극 지원하라는 조언은 당연하게 들리지만 많은 걸 시사한다. 정부의 행·재정 지원과 지역의 지지, 민간 자본 투자와 참여가 아직 모자란다. 그곳 시와 주정부에 대응하는 역할이 지자체에 있다. 연구, 고부가가치 확보와 판로 형성, 대기업이나 중소기업과 거미줄처럼 연결된 산업생태계 구축, 특히 공동 추진하는 핵심사업에 신경 써야 이름만 요란한 메가시티가 되지 않는다. 지방 주도의 국가균형발전 선도라는 취지도 살려야 함은 물론이다.
실리콘밸리의 경우 주체가 기업이고 주정부가 보조적 지원을 하는 업무 분장 역시 잘 이해해야 할 듯하다. 스타트업 99%는 실패하고 살아남은 1%가 경제를 견인한다는 예시 앞에선 참으로 숙연해진다. 바꿔 말해 스타트업은 리스크를 감내하는 조직이다. 시장 적합성을 찾고 시장 피드백에 최적 대응을 하면서 초기 생존율을 높이는 것도 정부·지자체 정책에 추가된다. 강조하지만 '밸리'는 처음부터 실리콘밸리 성공 신화와 관계된 이름이다. 벤치마킹한 이스라엘 실리콘와디 이상으로 세계 경제의 심장을 두드릴 수 있길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