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대전 서구 도솔산과 월평공원에 남은 일제강점기 조선제련의 금광 노천광산 현장을 지역 인사들이 답사했다. (사진=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제공) |
10일 오전 10시 30분 대전 서구 월평동 도솔대교에서 모여 갑천습지를 따라 10분 정도 걸어 1933년 일제강점기 금광에 도달했다. 이날 현장답사는 류기정 금강문화유산연구원 이사장과 안여종 문화유산울림 대표, 이주진 이사, 조현중 한밭문화마당 사무국장, 임재근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교육연구소장, 정성일 기획홍보팀장, 김광태 대전 대흥동성당 사목회장, 최장문 대신고 교사가 참가했다. 이보다 앞서 전북 군산지역 일제 방공호를 조사한 조인진 군산대 학예연구사와 지구물리 탐사 민간기업 보민글로벌 부설연구소 이동권 연구소장은 2024년 9월 중도일보 안내를 받아 현장을 답사한 바 있다.
갑천습지 산책로를 걸어 도솔터널과 도안대교 아래에 도착해 시작된 답사는 동굴 형태로 형체가 그대로 남은 금광을 관찰하고 20m 위에 있는 노천광산의 일종인 수직갱도 3개를 탐사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1970년 대전시 일원을 촬영한 항공사진에 검은색 반점 형태로 촬영된 장소를 찾아 조사하던 중 발견된 이곳 금광은 조선총독부 광구일람에 따르면 1933년 조선제련주식회사가 조성한 광산으로 유성금산(儒城金山)이라고 불렸다. 식민지 산업·금융 지배 일환으로 설립한 조선식산은행에 의해 설립된 조선제련은 충남 서천에 국내 유일 장항제련소를 지어 조선의 금과 은을 일본으로 수탈한 역사가 있다.
10일 대전 서구 도솔산과 월평공원에 남은 일제강점기 조선제련의 금광 노천광산을 지역 인사들이 답사했다. (사진=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제공) |
다만, 일제강점기 금광에 대해 연구를 했거나, 실제 금광 개발 경험이 있는 이가 현장을 보고 조사했을 때 착굴 기술부터 인력동원 그리고 운반까지 사실에 가까운 조사가 이뤄질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답사에 동행한 류기정 이사장은 "시민들이 찾는 갑천습지에 일제시대로 여겨지는 금광 현장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인상 깊다"라며 "많은 시간이 흘러 조성 당시 목격자나 증언이 현재는 수집되지 않는다면, 광산 연구자와 원로를 초빙해 현장을 검증해 지금이라도 사실에 가까운 기록을 만드는 게 필요해 보인다"라고 당부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