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교육활동은 모두 법률에 의해 규정된다. 학교시설 공간, 교과서, 교원, 교육내용, 그리고 운영시간표 등 전체가 규정에 따라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디지털교과서도 법에 의해 인정받아야 교실에 들어올 수 있다. 그러나 지난 해 12월 26일 국회는 디지털 교과서를 디지털교육자료로 강등하여 그 선택권을 일선 학교에 주도록 하였다. 이를 두고 언론에서는 여야 정파간의 다툼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디지털교과서 구독료로만 4년간 총 4조 7255억 원이 소요될 것이라는 어마어마한 예산 규모와 예산 확보가 논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교육활동 당사자인 교사와 학생의 관점에서 볼 때 문제는 디지털교과서 논쟁에서 주인공인 교육이 빠져있다는 점이다. 학생들 교육에 끼치는 영향이 무엇이고 그 결과 교육적 효과가 어떨 것인지 검토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교육이 빠진 논란에서 무슨 교육적 해법을 찾을 수 있을까 회의적이다. 현재와 같은 종이책이든,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디지털교과서든 교육에서 그것은 도구일 뿐이다. 정작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교사와 학생, 교육당사자의 상호 작용과 교육내용이다. 그럼에도 국가가 정책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있어서 굳이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면, 다음을 생각해 주기 바란다.
먼저, 교육을 생각해야 한다. 교육은 바른 인성을 기르는 인성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미래시대를 선도하는 높은 실력을 기르도록 하여야 한다. 바른 인성과 높은 실력은 어느 시대를 불문하고 교육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로 인성교육을 어떻게 포함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
둘째, 사회성 함양을 어떻게 할 것인가 생각해야 한다. 현재 사교육에서 디지털교과서가 확정된양 디지털 교육자료를 홍보하고 있다. 이들의 디지털 교육자료를 보면 학생이 컴퓨터 화면을 보며 문제풀이를 계속하여 더 높은 수준의 문제풀이를 반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의 성장 발달에서는 친교의 범위가 개인에서 가족, 그리고 친구와 이웃, 나아가 사회와 국가로 확장되는 사회성 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함께 잘 살아가는 사회가 우리가 지향하는 미래 사회라면 디지털교과서로 행해지는 교육은 고민스러울 수밖에 없다. 가까운 예로 핸드폰만 바라보고 부모와도 소통하지 않는 자녀를 두고 고민하는 부모들을 많이 보았다. 디지털교과서는 개인화를 더 고착시킬 것이다.
셋째, 디지털교과서가 학습효과가 그리 높다면, 착한 인재의 양성에 성공적인 선택일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사람들은 예나 지금이나 권선징악에 공감한다. 유명한 영화 미션 임파시블에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천재 악당의 복수감과 이기심이다. 천재가 착하면 인류에게 은혜이고 악하면 인류의 재앙이 된다. 디지털로 성장하는 무한능력의 천재를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교과서를 바꾸는 일의 파장이 그리 작지 않을 진데 다른 나라의 디지털교과서 실패담을 보고도 굳이 도입하려고 급하게 서두르는 자세가 교육자로서 이해되지 않는다. 교육부에 교육은 있는가? 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부는 학교 현장의 소리에 더 귀를 기울이고 교육부의 업적은 인재양성이라는 교육 기본에 더 충실하기를 바란다.
정상신(대전미래교육연구회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