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균 소장 |
하지만 몸싸움은 부상 위험이 따른다. 원칙적으로 해서는 안 되는 반칙들이다. 그래서 한동안 몸싸움은 잘못된 것이고, 정정당당한 스포츠 정신에 위배된다며 경계했지만 지금은 모두가 옛말이 됐다. 이제 적절한 몸싸움은 운동경기의 일부이다. 때론 심한 반칙을 해서라도 막아야 하고, 실점을 막은 몸싸움은 오히려 칭송의 대상이 된다. 스포츠정신의 궤변이다.
하지만 탁구는 몸싸움이 없고 할 수도 없다. 복잡한 규칙도 없다. 반칙에 따른 불필요한 마찰이나 갈등도 없다. 몸싸움이 싫은 마음 약한 사람들이 하기 딱 좋은 운동이다. 넓은 공간도 필요 없다. 좁은 공간에서 언제든 할 수 있는 흥미 백배의 운동이다. 계절도 관계없다. 어느 계절이든 할 수 있는 게 탁구다. 운동량도 제법 되어 다이어트에 적격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대내외 외교 무대에서도 탁구는 큰 역할을 했다.
1971년 냉전시대를 풀어가는 실마리가 탁구에서 비롯됐다. 미중관계 개선에 탁구(핑퐁)외교가 한몫하며 꽉 막혔던 관계를 푼 것이다. 몸싸움이 없는 탁구 경기의 묘미 덕분이다. 말싸움에서의 핑퐁은 책임전가이지만, 스포츠에서의 핑퐁은 오히려 흥미를 배가시킨다. 핑퐁이 길어질수록 각종 묘기와 감동도 쏟아진다. 박수갈채로 이어지는 순간이다. 혹 네트에 맞거나 엣지 덕분에 점수를 따기라도 한다면 깍듯한 예의로 미안함을 표시한다. 탁구 에티켓이다.
이런 탁구의 특징을 맘껏 살리며 국제 사회의 냉전 분위기가 해소된 것이다. 몸싸움이 필수인 축구와는 완전 딴판이다. 1970년 중남미 지역 월드컵축구 예선경기, 온두라스와 엘살바도르의 경기 과열은 전쟁으로까지 비화됐다. 운동장내 선수들 간의 뜨거운 몸싸움 경쟁이 관중석의 응원단으로 번졌고, 그것이 양국 간 전쟁의 발화선이 된 사건이다.
싸늘했던 남북관계를 푼 것도 탁구다. 199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서 남북한 단일팀이 단체전 우승을 차지한 것도, 2018년 코리아오픈 혼합복식에서 남북단일팀이 세계 최강 중국을 꺾는 이변을 연출한 것도, 단일팀이었기에 그 의미는 배가 됐다.
20세기 초 유럽에서 '간이 테니스'로 시작한 탁구이지만 20세기 후반부터는 중국의 독무대가 됐다. 이후로 만리장성의 높은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원조국가도 아닌 중국이 수십 년간 최고 정상의 자리에 있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국민 대다수가 즐기는 국민스포츠란 점이다. 완전한 생활 체육이다. 동호인만 우리나라 전체 인구보다 많은 8천만 명에 이른다. 한동안 우리나라도 동네마다 탁구장이 있었다. 국제경기에서 빛을 보던 시절의 이야기다. 중국은 그때나 지금이나 한결같이 탁구를 즐긴다. 우리 같으면 그 열기가 식을 법도 한데 탁구인구는 오히려 늘고 있다.
필자도 중국탁구를 경험하기 위해 매주 두 차례 연습장을 찾는다. 서너 살 어린아이로부터 70대 노년에 이르기까지 세대를 초월한 탁구 열기는 대단하다. 세 살짜리는 탁구대 높이가 안 맞아 받침대 위에 올라가 연습한다. 그래도 신기하게 공을 잘도 넘긴다. 탁구신동이 났다고 야단법석 떨 만도 한 풍경이다. 이런 풍경이 어디 여기뿐 이겠는가.
이렇게 중국 전역에서 탁구 꿈나무들이 크고 있다. 탁구 선수를 좋아하는 팬클럽도 엄청나다. 그들을 따르는 열정도 어지간한 연예인보다 낫다. 좋아하는 선수가 아무리 먼 곳에서 경기를 하더라도 찾아가 응원한다. 오늘날 세계 최강의 자리를 지킬 수 있는 건, 이런 국민적 열망과 응원이 뒷받침 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