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의 취재 뒷이야기 '취재 뒷담화'. 영상=뉴스엔톡 제공. |
공공기관 이전의 중요성은 수도권 초집중·과밀 문제를 해소하는 기제로 부각됐고, 노무현 전 정부의 제1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으로 수면 위에 올라왔다. 이후 2019년 문재인 전 정부까지 153개 이전을 끝마쳤다.
그럼에도 수도권 인구는 대한민국 절반을 넘어선 채 꺾이지 않는 흐름을 2020년 이후까지 이어갔다. 이 때문에 제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이 수립됐고, 바통을 이어받은 윤석열 정부가 2025년 하반기 공표할 예정이다.
초미의 관심사는 여전히 수도권에 산재한 157개 공공기관 중 몇 곳이 어느 지방으로 행선지를 정할 지로 모아진다. 세종시 출범과 함께 2020년에야 혁신도시 대열에 막차로 합류한 대전시와 충남도 입장에선 유치에 사활을 걸 수 밖에 없다.
세종시 역시 2030년 완성기까지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위상을 갖추기 위한 유치전을 멈출 수 없는 조건에 놓여 있다. 최근 인구 증가율이 정체 상태에 있고, 전국 최고 수준의 공실률과 주택 가격 하락, 역외 소비율 등의 지표를 안고 있어서다. 전북과 전남, 강원과 부산, 경북, 제주, 울산, 대구 등 다른 지역들도 물밑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세종시는 여성가족부와 감사원, 법무부 등 미이전 중앙행정기관부터 정부세종청사와 연관성 있는 공공기관의 추가 유치를 기대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위원회 5곳, 총리 직속 4곳, 행안부 소속 2곳, 교육부 소관 1곳 등의 이전도 기다리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