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형 대전을지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
수술은 질병이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후순위 절차이면서도 가장 적극적인 의료행위이다. 가장 적극적이라는 말은 곧 수술행위 자체가 우리의 신체를 절개하거나, 침습적인 방법으로 몸에 상처를 내는 과정이라는 걸 의미한다. 그렇기에 수술 후에는 당연히 통증이 동반된다.
'참으면 약이 된다'는 속설이 있다. 그런데 수술 후 통증도 참으면 약이 될까? 수술 후 통증을 참는 것으로 이겨내면, 진통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훨씬 몸에 이롭고 회복이 빠를까에 대한 해답을 떠올려보자. 답은 당연히 '아니다' 이다. 결단코 '참으면 약이 된다'의 정반대가 답이다. 수술을 받아본 경험을 가진 독자라면 수술 후 통증이 얼마나 아프고 불편하며 소름 돋기까지 한지 잘 알 것이다.
수술 후 오는 통증은 통증 자체로 환자에게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몸의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수술 부위의 상처가 아무는 것을 더디게 한다. 또 혈압과 맥박이 오르고 혈당이 상승하며 수면을 방해한다. 통증으로 정상적인 호흡을 하지 못하게 되면 폐렴으로 열이 나고 폐가 오그라드는 무기폐가 발생하며, 수술 부위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켜 점점 회복을 지연시키는 악순환의 고리를 만든다. 더불어 통증이 있는 경우 수술 후에 발생하는 오심과 구토의 확률도 높아진다. 이러한 모든 부정적 반응은 수술 부위의 회복을 늦추며 병원에 보다 장기간 입원을 요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여하한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수술 후 통증을 조절해야 한다.
수술 후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소염진통제와 아편양진통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두 약물을 함께 혼합 사용하면 진통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줄일 수 있다. 여기에 아편양진통제의 부작용과 수술 및 마취 후 발생하는 오심과 구토를 조절하기 위해서 항구토제를 첨가한다. 이렇게 혼합 조제된 약물은 '자가통증조절기'라는 조그만 장치를 통해 정맥주사로 투여한다. 물론 과량의 진통제가 투여되는 상황을 방지하고자 투여되는 최대한도가 설정돼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가능한 경우 부분마취를 시행해 수술과 동시에 수술 후 진통을 조절하는 경우도 있다. 하반신 수술이나 상지 수술을 할 경우 부분마취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수술 후 통증을 조절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만성 수술 후 통증 증후군'이라 하며, 최근 조사에 의하면 증후군을 겪는 환자가 10~40%나 된다고 한다. 보다 넓은 부위를 수술할수록 만성 수술 후 통증 증후군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만성 수술 후 통증 증후군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수술 부위를 지배하는 신경이 수술로 인한 손상으로 예민해져 통증이 지속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 몸은 거의 모든 신체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말초신경이 분포해 있는데, 어떠한 수술이라도 아주 가느다란 말초신경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는 수술을 할 수가 없다. 수술 후에 수술 부위는 말끔히 나았는데 그 부위에서 계속 통증이 오거나 저리고 예민하다면 만성 수술 후 통증 증후군을 생각해봐야 한다. 이 경우에는 가능한 빨리 마취통증의학과의 통증클리닉을 방문해 약물을 투여하면 효과적으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
수술 후 가능한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수술 및 마취 전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질병 즉, 혈압, 당뇨. 심장 및 신장 약물, 호흡기의 만성질환 등을 최적으로 조절한 후 수술 및 마취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전신적 질환을 잘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술을 시행하면 회복이 느린 동시에 만성 수술 후 통증 증후군이 발생할 확률도 높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