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완 한국원자력연구원 경제성분석실 선임연구원 |
현대 사회에서 기술이 발전할수록 우리가 활용하는 각종 시스템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공장은 로봇과 센서,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모두 통합한 복잡한 구조다. 이러한 시스템은 효율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 부분의 오류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사고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중성, 독립성, 다양성이라는 안전의 핵심 원칙을 반영해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안전은 효율과 종종 반비례 관계에 놓인다. 안전장치를 추가해 강화할수록 비용은 증가하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안전장치를 종종 중복해 설계한다. 하나의 시스템 실패가 큰 피해로 이어져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를 다중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낙하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예비 낙하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거나 데이터 서버에서 여러 서버에 데이터를 중복 저장해 하나의 서버가 손상되더라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다중성의 원칙이다.
독립성은 안전 시스템 설계의 또 다른 중요한 원칙이다. 한 시스템의 문제가 다른 시스템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대형 선박은 내부를 여러 구획으로 나누어 한쪽에서 물이 새더라도 전체 선박이 침몰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화재 방화문도 비슷한 원칙에 따라 만들어진다. 화재 발생 시 불이 다른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해 사고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다양성 역시 안전 시스템 설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모든 안전장치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한다면, 특정 조건에서 모든 장치가 동시에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만으로 구성된 시스템은 정전 시 일시에 모두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 전기가 아닌 에너지원으로 작동하는 수동 장치를 추가하거나, 비상 발전기와 배터리를 배치해 정전 상황에서도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한다. 심지어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전기가 끊겼을 때 중력을 이용해 안전을 유지하는 기술도 점차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원칙들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안전 시스템 설계에 반영돼 있지만, 사고는 여전히 발생한다. 그 원인으로 종종 부실한 안전 문화가 지목된다. 교통사고를 예로 들어보자. 신호를 위반한 차량이 다른 차량의 대처로 큰 사고를 면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신호를 위반한 차량이 과속 차량과 만난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사고 발생 확률은 극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위험할 것 같지 않아 무심코 법규를 위반하는 순간,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상대와 만나면 사고가 생긴다. 이를 막으려면 나부터 규칙을 잘 지켜야 한다. 또한, 법규 위반은 고의가 아니라 실수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우리 사회가 실수를 용납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 누군가의 실수가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필자는 운전 시 교차로에 진입할 때 항상 브레이크에 발을 올려둔다. 교차로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이기 때문에,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언제든 브레이크를 밟을 준비를 하는 것이다. 또한, 가정에서 하이라이트나 인덕션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위에 물건을 올려두지 않는다. 아무리 전원 버튼과 잠금장치가 있어도,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는 습관이다. 이러한 사소한 노력이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우리 사회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각자 자신의 환경에서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안전 수칙을 적극 실천해야 한다.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 누군가의 실수가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우리 함께 노력하자. 조재완 한국원자력연구원 경제성분석실 선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