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숙 수필가 |
우리가 살다보면 이웃의 단점이 보이기 쉽습니다. 김용복 교수의 말에 의하면 이솝우화에 나오는 양치기 소년은 "늑대가 나왔어요, 사람 살려주세요." 라는 거짓말로 인하여 그는 세계 어린이들에게 거짓말쟁이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거짓이 다른 각도에서 보면 장점도 되는 것입니다. 아무도 오지 않는 산속에서 이 거짓말로 인하여 농사짓던 농부들을 달려오게 하여 외로움을 해결했던 창의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요즘 모든 기업에서는 두뇌 좋아 암기 잘하는 사람보다는 창의성 있는 사람을 뽑는다고 합니다.
제가 여고시절 제 친구가 며칠동안 가출했다가 돌아온 딸을 엄마가 데리고 담임선생님께 왔습니다. 그런데 담임선생님께서는 야단을 치시기는 커녕, "사춘기 때는 다 그런 거여. 나도 고등학교 다닐 때 다섯 번이나 가출 했었지. 그런데 후에 잘못이라는걸 깨닫게 되었지. 누구나 사춘기 때는 그런 본능을 가지고 자라는 것이 정상적이야. 잘못인 줄 알고 자신을 억제하는 것은 노력이 필요해."라고 하시며 격려해주시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사춘기 청소년들을 이해 해주셨기에 이런 격려를 해 주셨던 것입니다.
제가 여성이기에 여성편향적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여성은 한 남자의 아내이기도 하지만 자녀들의 엄마이기도 합니다. 아내가 불평하고 짜증을 낸다고 하여 싸우러 드는 남편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내 아내로 보지 말고 애들 엄마로 보면 얼마든지 그럴 수 있는 것입니다. 내 아내는 또한 여성이고, 혈액형도 나와 다릅니다. 그런데 사내가 그걸 이해 못 한다면 어찌 화목한 가정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내 아내는 여자이고, 혈액형도 나와 다르며, 내 자녀들의 엄마입니다. 예서 뭘 더 요구하십니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는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인간관계를 통해 많은 고민을 피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그래도 사회생활과 경륜이 있기에 둥실둥실 넘어가지만 갱년기를 보내며 싫고, 좋음을 뚜렷이 표현하는 모습에 놀라기도 합니다.
저는 나름대로 인간관계를 잘하며 살아왔다고 생각하고 살고 있지만, 자그마한 오해나 실수로 인하여 불편한 관계가 되었던 일들이 종종 벌어지고 있습니다. 불편한 관계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자신과 상대가 어떤 성향인지 미리 파악해 두는 '지피지기' 대처법을 활용해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녀가 초등학교시절 학부모 상대로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이라는 교육을 통해 나의 자녀의 성향은 어떤 성향이고 부모의 성향은 어떤지를 통해 자녀와의 관계를 원만하게 해결해 주었던 기억을 해봅니다. 이 프로그램으로 자녀의 성향을 이해하게 되었고 그 속에서 비뚤어진 감정들을 감싸 안아주었더니 변화돼는 모습을 보게 되어 '에니어그램 프로그램' 교육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람과 사람의 인연은 독불장군처럼 '나홀로' 성장한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때때로 다른 사람의 행동을 쉽게 판단할 때가 있습니다. "나는 이렇게 하는데, 저 사람은 왜 저럴까?"라는 부정적인 방식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 그 사람의 단점만 자꾸 보이게 됩니다. 제가 사는 아파트 단지 내 같은 동, 같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이웃 사람 중에 이해가 안되는 분이 있었습니다.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살았지요. 그렇게 시간을 보내다가 문득, '왜 이렇게 저 사람이 싫을까?'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생각을 하게 된 계기는 제가 상대방에 대해 무의식중에 어떤 기대를 하다, 그것이 실현되지 않았을 때였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을 상대방도 좋아하길 바란다거나 내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을 상대방도 당연하게 여긴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해가 풀리면 인생도 풀린다"는 말 가슴에 새기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김명숙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