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부터 금강과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지, 국립세종수목원, 중앙공원, 호수공원으로 이어지는 중앙녹지공간 전경.이 곳은 미래 행정수도 관광의 특화 영역으로 통한다. 사진=이희택 기자. |
세종특별자치시가 특화 관광 전략으로 고려해볼 만한 요소들이다. 2024년 관광 도시로서 현주소는 바닥을 면치 못했다.
한국관광공사가 제공한 한국관광데이터랩을 분석해보면, 앞으로 숙제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2023년 12월~2024년 11월까지 1년간 방문객(내지+외지 KT) 점유율은 전국(120억여 명)의 0.8%(777만여 명)에 불과했다. 역시나 경기(24.1%)와 서울(17.9%), 인천(5.5%) 등 수도권 점유율이 47.5%로 압도적 수치를 보였다.
지방에선 경남이 6.3%, 부산과 경북이 각각 5.6%, 대구가 4.4%, 울산이 2%로 경상권(23.9%)이 우위를 보였고, 충남(4.6%)과 충북(3.3%), 대전(2.8%) 등 충청권 점유율은 11.7%에 그쳤다. 전라권은 전남(4.1%)과 전북(3.9%), 광주(2.6%), 제주(2.2%) 등 모두 12.8%로 집계됐고, 강원은 4.3%의 점유율을 보였다.
지역경제 활성화 지수로 볼 수 있는 매출액(전체 3.75조 원 규모) 점유율도 경기 22.4%, 서울 33.5%, 인천 4.7% 등 수도권에서 60.6%로 방문객 점유율을 크게 넘어섰다.
이처럼 돈과 사람이 수도권으로 쏠림 현상은 지방 소멸 가속화의 다른 말로 풀이된다.
지역에선 부산(7.8%)과 대구(4.7%), 경남(3.5%), 경북(2.6%), 울산(1.3%) 등 경상권이 19.9%로 후순위를 이었고, 대전(4.1%)과 충남(2.5%), 충남(2.1%) 등 충청권이 8.7%, 광주(2.3%), 전남과 제주(각 2%), 전북(1.6%) 등 전라권이 7.9%, 강원이 2.6%로 조사됐다. 세종은 대부분 식음료 매출 유형으로 0.2%에 머물렀다.
세종시가 코로나 19를 거치며 상권 공실 악화와 경기 침체, 역외 소비 증가 현상을 맞이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네비게이션(티맵) 검색 건수(5억여 건)로도 세종은 0.7% 점유율에 머물렀다. 경기도(30.3%)와 서울(14.3%), 인천(7.1%), 강원(6.8%), 충남(5.3%), 부산(5.2%), 경남(5%), 경북(4.6%), 충북(3.5%), 전남(3.4%), 대구(3%), 제주(2.7%), 전북(2.6%), 대전(2.3%) 등의 순이다.
2024년 한해 세종시에서 가장 많은 네이게이션 검색이 이뤄진 장소 순위. 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
전국적으로 △인천공항(646만여 회) △김포공항(약 178만 회) △스타필드 하남(166만여 회) 광명역(152만여 회) △스타필드 수원(147만여 회) △스타필드 고양(135만여 회) △현대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104만여 회) △더현대 서울(93만여 회) △현대백화점 판교점(92만여 회) △서울역(91만여 회) △에버랜드(89만여 회) 등 주요 교통·유통·레저 시설 중심으로 방문이 잦았다. 아울렛이나 백화점 등 대형 쇼핑몰과 놀이공원 하나 없는 세종시 현실이 대조를 이뤘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2025년 세종시는 새로운 도약의 한해를 맞이할 수 있을까. 사진은 전월산 정상에서 본 1월 1일 일출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