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군, 사계절 축제 도시 자리매김 성공

  • 전국
  • 광주/호남

임실군, 사계절 축제 도시 자리매김 성공

봄 옥정호 벚꽃축제-겨울 산타축제 97만여 명 방문

  • 승인 2025-01-03 15:41
  • 김영미 기자김영미 기자
임실
전북 임실군 벚꽃축제 관광객./임실군 제공
전북 임실군이 지난 2024년 봄부터 겨울까지 주요 관광지에서 개최된 축제 기간에만 임실을 찾은 관광객이 97만여명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3일 임실군에 따르면 지난 2024년 봄 옥정호 벚꽃축제, 오수의견문화제와 함께하는 임실N펫스타를, 여름에는 아쿠아페스티벌, 가을에는 임실N치즈축제, 겨울에는 산타축제를 성공리에 마무리했다.

지난 2024년 3월 30일과 31일 양일간에 걸쳐 처음 개최된 옥정호 출렁다리와 만나는 '2024 임실 옥정호 벚꽃축제'는 2만여 명의 관광객이 방문, 기대 이상의 성과를 올렸다.

'봄에 만나는 붕어섬, 블라썸(blossom)'이라는 주제로 옥정호 출렁다리 앞 특설행사장에서 열린 2024 임실 옥정호 벚꽃축제는 안전사고 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어 5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반려동물 문화축제인 '제39회 의견문화제와 함께하는 2024 임실N펫스타'는 비가 내린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반려동물과 함께한 반려 가족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5만여 명의 역대 가장 많은 관광객을 기록했다.

7월 27일부터 8월 18일까지 치러진 임실군의 대표적 여름 축제인 '아쿠아페스티벌'은 총 9400여 명의 유료 입장객과 함께 매출액은 1억5000여만 원을 달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입장객 중 70%는 관외 거주자로 집계되어 임실군 관광 홍보에도 큰 효과를 발휘했다.

지난 2024년 10월 3일부터 6일까지 개최된 10주년 임실N치즈축제에는 축제 기간에만 전국 각지에서 58만여 명이 찾으며, 전년에 세운 최다 관광객 기록을 또 갈아치우며 명불허전 화제성을 재입증했다.

특히 비슷한 기간 10여 개에 달하는 지역축제가 열린 가운데 이뤄낸 성과로 전국적으로 관광객이 찾아오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대형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임실군 전체 인구 2만6천여명의 22배에 달하는 수치로,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수백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실제 축제가 열리는 나흘간 치즈와 유제품, 농특산물 등 매출도 전년 16억3000만원보다 무려 8억2000만원이 많은 24억5000만원으로 집계, 67% 증가세를 보였다.

전국적인 겨울철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한 임실산타축제는 축제가 열리는 12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 전국적으로 31만8500여명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2023년 최다 기록이었던 11만명보다 3배 증가한 수치다.

군은 짧은 기간에 치러진 이들 축제 기간에만 100만명이 달하는 관광객이 찾은 가운데 축제 이외에도 옥정호와 임실치즈테마크, 오수의견관광지, 사선대, 성수산 등 주요 관광지를 찾은 관광객은 수백만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실제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임실군 생활 인구는 2018년에 498만 명에서 2023년 853만 명으로 71% 증가한 가운데 지난 2024년 11월 현재 830만 명, 산타축제가 열린 12월까지 합하면 890만을 달성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군은 2025년이 임실 방문의 해인 만큼 더욱 공격적인 관광 홍보와 더 알찬 축제, 관광지 업그레이드 등을 통해 목표했던 천만 관광객을 유치할 방침이다.

심민 군수는 "지난 2024년 전국적으로 정말 많은 분들이 방문해 주셔서 사계절 축제의 도시 임실을 대내외적으로 알리게 됐다"며 "올해는 임실 방문의 해로서 전국 각지에서 더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실 수 있도록 주요 관광지와 축제 등을 더 각별히 신경쓰겠다"고 말했다.

임실=김영미 기자 yougmi507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교육청, 초등생 살해교사 명재완씨 징계 확정… 최고 수준 '파면' 예상
  2.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3.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4.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5.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1. 폐기물 4만t 묻힌 재건축 현장, 40년 전 저지대 정비목적 추정
  2.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3.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4. 대전과기대-서구청 라이즈로 동반성장
  5. 한국연구재단 사칭해 생명보험 가입 권유? "금융 관련 요구 안해, 피해 주의"

헤드라인 뉴스


폐기물 4만t 묻힌 재건축 현장, 40년 전 저지대 정비목적 추정

폐기물 4만t 묻힌 재건축 현장, 40년 전 저지대 정비목적 추정

<속보>=아파트를 짓던 중 4만t 이상의 폐기물이 발견된 대전의 재건축 현장은 옛 토지개발공사가 건축폐기물을 매립했던 것으로 보인다는 증거보전 감정인의 의견서가 법원에 제출됐다. 콘크리트 폐기물이 일정한 깊이로 고르게 매장되고 흙은 성토된 것을 보았을 때 택지 기반시설 조성 차원의 매립으로 보인다는 것인데 1994년 둔산동 개발 때도 유사한 논란이 있었던 게 확인돼 주목된다.(본보 3월 25일자 3면 등 보도) 8일 중도일보 취재결과, 동구 천동과 가오동에서 노후된 주공 아파트를 철거하고 지상 33층 952세대 아파트를 재건축하는..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