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 전경. 사진=중도일보 DB. |
2020년 7월 행정수도 이전론과 함께 급등했으나 2021년 LH의 수도권 투기 논란과 주택 특별공급 폐지 등의 악재에 휩싸이면서, 지난 3년 간 하락세를 거듭해왔다. 일각에선 조정기와 함께 비정상의 정상화 과정이란 평가도 있으나 역으로 수도권 부동산 경기 활성화 기조와 대조를 이루며, 국가균형발전 선도도시 지위를 잃고 있다.
실제 2024년부터 이어지고 있는 다양한 지표가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월별 아파트 주택 매매 거래량은 7월과 10월을 제외한 모든 기간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지난 5년 간 같은 기간 평균으로 볼 때다. 월간 최대 96.5%(4월) 감소 등 전국 최고 수준의 감소율을 보이다 하반기 들어 안정세를 일부 되찾았다. 지난해 전·월세 거래량도 수도권과 충청권 전반이 증가한 데 반해, 세종은 8.2% 줄었다.
거래 수요가 확연히 줄다 보니, 매매가격 역시 마이너스를 면치 못했다. 한국부동산원 분석 결과 지난해 5~11월 매매가 변동률은 합계 6.23% 감소해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분양 상황도 크게 좋아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813호보다 조금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약 3400호가 5-1생활권과 5-2생활권, 6-3생활권에 걸쳐 분산 공급될 것으로 조사됐다.
당장 1월 10일 합강동(5-1생활권) L12블록 소재 양우건설의 내안애 아스펜 698호 분양의 성공 여부가 관심을 모은다. L9블록 소재 계룡건설 브랜드 아파트 424호 공급도 예정돼 있다. 분양가격이 2021년 3.3㎡당 1200만 원 후반대에서 1700만 원 대까지 치솟은 점이 아킬레스건으로 남겨져 있다.
수요자들 입장에선 신도시 84㎡ 기준 3~5억 원 대 기존 아파트 매입과 신규 분양 사이에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지난 1년 간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를 분석해보면, 세종시 아파트는 84㎡ 기준 최저 3.2억 원 대에서 최고 11억 3000만 원으로 거래됐다. 같은 기간 서울의 아파트 최고가가 47억 원(강남)에 형성된 점을 놓고 보면, 격차는 4배에 가깝다.
긍정 지표도 있다. 지난해 주택 인허가 물량이 전년 대비 718.1%, 착공 물량이 407.7% 늘어난 점은 미래 활성화 지수로 다가온다.
지역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세종시 아파트 가격이 2021년까지 급등한 이후 최고점의 2/3 지점에 와 있다. 상반기 대통령 탄핵 인용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라며 "조기 대선이 성사될 경우, 국가균형발전의 의지가 어떻게 담기느냐가 최대 변수로 남겨져 있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도 '대통령 1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을 거쳐 세종으로 옮겨야 한다는 신호음을 보내고 있다. 광화문 이전은 지난 정부에서 보안 문제상 불발된 바 있다.
결국 최대 변수는 세종시가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 해소란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며,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나아갈 지로 모아지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