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정부의 '인구·출산율·지방소멸' 대응안, 무엇이 달라지나

  • 정치/행정
  • 세종

2025년 정부의 '인구·출산율·지방소멸' 대응안, 무엇이 달라지나

기재부, 313건의 정책 변화 담은 책자 발간
인구감소 대응 및 출산율 제고 위한 제도 포함
청년 사회정착 지원 위한 다양한 정책 소개
책자, 전국 배포 및 온라인 열람 가능

  • 승인 2024-12-31 16:23
  • 수정 2024-12-31 16:29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504_212841202_17
기획재정부가 자리잡고 있는 중앙동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기획재정부는 2025년부터 달라지는 법과 제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자를 발간했다. 가장 눈길 끄는 부분은 인구감소 대응과 출산율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제도로 모아진다.

기재부는 39개 정부기관에서 수집한 313건의 정책 변화를 정리한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란 제목으로 이 책자를 출간했다.

핵심 내용은 육아 휴직 급여 인상과 기업 출산 지원금의 근로소득 전액 비과세, 자녀·손자녀 세액공제 확대 등을 담고 있다. 또 청년들의 안정적인 사회정착을 위한 청년도약 계좌와 장병 내일 준비 적금의 정부지원금 확대, 병사 봉급 인상 등도 소개돼 있다.

책자는 2025년 1월 초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공공 도서관, 점자 도서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인터넷 서점 전자책과 기획재정부 홈페이지에서도 열람할 수 있다. 주요 제도와 정책은 기획재정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미리 공개돼 국민에게 친숙하게 전달될 예정이다.



▲인구 감소, 출산율 제고,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은=눈여겨볼 부분은 이 같은 대응안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25년 1월 1일부터 기존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 주택 또는 비수도권 소재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취득 시에는 1세대 1주택 특례를 적용받는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원활한 주택공급을 위한 취지다. 양도소득세 12억 원 비과세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최대 80% 적용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업이 근로자에게 지급한 출산지원금은 2년 이내 최대 2회에 한해 근로소득 전액 비과세하고, 8~20세의 자녀와 손자녀 세액공제도 첫째는 25만 원, 둘째는 30만 원, 셋째는 40만 원으로 각각 10만 원 상향한다. 출산율 제고와 양육비 부담 완화 조치다.

육아휴직 급여는 통상 임금의 100%(월 상한 250만 원) 인상, 육아 휴직 기간은 1년 6개월까지 4회 분할 가능으로 확대, 배우자 출산휴가는 20일까지 확대, 사후지급방식은 육아 휴직 중 75%,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무 시 나머지 25% 지급으로 변경한다.

인구감소지역에 소규모 관광단지를 개발할 수 있는 지정 기준이 5만㎡~30만㎡로 완화되고, 필수시설도 공공편익과 관광숙박 시설까지 2종으로 준다. 승인절차는 시도지사(문체부 사전 협의)에서 시군구청장(시도지사 사전 협의)으로 바뀌고, 기존의 관광단지에 적용한 혜택인 개발부담금 면제와 취득세 감면, 공유재산 임대료 감면, 관광진흥 개발기금 융자지원 등은 동일 적용한다.

단독과 다가구주택, 연립·다세대주택 등 비아파트 구입자가 청약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청약시 무주택으로 인정하는 범위도 확대한다. 60㎡ 기준 공시가격 1억 원(수도권 1.6억 원) 이하 주택에서 85㎡ 기준 공시가격 3억 원(수도권 5억 원) 이하 주택으로 변경을 의미한다.

국민들이 정부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공공서비스를 안내하는 맞춤형 '혜택 알리미'를 구축해 민간 앱(은행 앱, 네이버 등)에서 서비스하도록 한다. 2025년부터 청년과 구직, 출산, 전입<이사>까지 4개 분야에 걸쳐 800여개 서비스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3300여개 서비스로 확대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3.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2.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5.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창의적 아이디어로 미래를 연다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