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08강 세모(歲暮)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08강 세모(歲暮)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4-12-31 13:2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208강 세모(歲暮) : 한해가 저무는 때, 섣달그믐께

글 자 : 歲(해 세/ 설날, 년) 暮(저물 모)

내 용 : 세모는 섣달그믐께, 세밑, 년 말 (東亞 漢韓中辭典 1983년 동아출판사)

한 해(甲辰年)가 저물었다. 많은 일들이 지나갔다. 돌아보니 좀 아쉽기는 하나 모든 분들 덕분에 한 해를 보람 있게 보냈음을 감사하게 생각한다.



새해의 소망(所望)을 잔뜩 품고 또 다시 시작해 보는 거다.

守歲(수세/ 제야의 밤을 새우며)

門上揷桃何詭誕(문상삽도하궤탄) 대문에 꽂는 도부(桃符) 너무도 허황되고

庭中爆竹奈支離(정중폭죽내지리) 뜰 안의 폭죽 소리 시끄럽고 지루 하네

?瘟丹粒猶虛語(벽온단립유허어) 벽온단으로 온역(瘟疫)피함도 헛말이지만

爲倒深杯故不辭(위도심배고불사) 깊은 술잔 기울이려 짐짓 사양 않노라



桃符(도부) : 설날 아침에 악귀를 쫓기 위해 문짝에 붙이던 조그마한 나뭇조각

瘟丹(벽온단) : 예전에 전염병을 물리쳐 막는다던 알로 된 약(藥)

『동문선』 권 20에 실린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칠언절구(七言絶句)이다.

첫 구절에 나오는 도부(桃符)는 복숭아나무로 만든 부적이란 의미이다. 이는 악귀(惡鬼)를 쫓는 부적의 일종으로 복숭아나무 판자에 신도(神?)와 울루(鬱壘)라는 두 신상(神像)을 그려서 대문 곁에 걸어 두어 악귀를 쫓는다는 고사에서 유래된 것이다.

마당에서 폭죽을 터뜨려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것도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풍속의 하나였다. 또 열병을 물리치는 데 유용하다는 벽온단(?瘟丹)을 만들어 향으로 피우거나 단약(丹藥)으로 술과 함께 복용하기도 하였다. 궁중에서는 내의원에서 제작하여 임금께 진상하기도 하고 민간에서 만들어 서로 선물하기도 하였다. 이규보는 이런 부적이나 폭죽놀이, 벽온단 등은 모두 실제 효용이 없는 헛소리라 치부하면서도 제석(除夕)에 술을 마실 수 있다면 사양하지 않겠노라는 호쾌한 일면을 보여 주고 있다.

위의 시는 짧은 칠언 절구이지만 제야(除夜)에 행하는 여러 풍습이 고루 담겨 있다. 보통 수세(守歲)는 '해 지킴'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섣달그믐 밤에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우는 풍습에서 시작되었다

해가 갈수록 절기(節氣)와 명절(名節)이라는 마음 설레는 일이 없어지지만, 세모(歲暮)는 한해의 마지막 역할을 해주는 부분이기에 한 해를 막연하나마 돌아보게 된다.

소식(蘇軾)이 지은 「궤세(饋歲)」, 「별세(別歲)」, 「수세(守歲)」의 시(詩) 서문(序文)에 "한 해가 저물 때에 서로 음식물을 가지고 문안하는 것을 '궤세(饋歲)'라 하고,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서로 불러 함께 마시는 것을 '별세(別歲)'라 하고, 섣달그믐 저녁부터 이튿날 새벽까지 잠을 자지 않는 것을 '수세(守歲)'라 하니, 촉(蜀) 지방의 풍속이 이와 같다."라고 하였는데,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때부터 수세(守歲)의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섣달그믐 밤에 잠을 자지 않는 이 풍속은 '경신수야(庚申守夜)'라는 고사와 관련이 있다. 곧, 60일에 한 번씩 돌아오는 경신일(庚申日)이 되면 사람의 몸에 기생하고 있던 삼시충(三尸蟲)이 잠든 사이에 몸 밖으로 빠져나가 상제(上帝)에게 그동안의 죄과를 낱낱이 고해바쳐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를 막으려고 잠을 자지 않고 지킨다는 것이다.

이 후로부터 섣달그믐날이 경신일(庚申日)이 아니라 할지라도 이렇게 밤을 새우며 액막이를 하는 수세(守歲)풍속은 고려 때 매우 성(盛)했고 조선시대까지 행해졌다.

또 『동국세시기』 에 "섣달그믐날 밤 인가에서는 방, 마루, 다락, 곳간, 문간, 뒷간에 모두 등잔을 켜놓는다. 흰 사기 접시 하나에다 실을 여러 겹 꼬아 심지를 만들고 기름을 부어 외양간, 변소까지 불을 켜놓아서 마치 대낮 같다. 그리고 밤새도록 자지 않는데 이를 수세(守歲)라 한다."라고 하였다. 이렇게 제야에 집안 곳곳에 등불을 켜놓는 것은 악귀를 쫓기 위한 풍습(風習)이다. (인터넷 守歲 참조)

수세(守歲)가 실제 부정을 쫓고 병을 막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해마다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행하는 풍속은 사회 구성원에게 안정감과 기대를 갖게 한다. 하지만 공동체가 다 같이 행하는 세시 풍속의 의미가 쇠퇴한 요즘은 생활의 마디를 느끼기 힘드니, 해가 바뀐다는 것이 그저 달력이 바뀐다는 의미로 보면 될 것이다.

옛적 세모(歲暮)에는 예절(禮節) 또한 중시했고, 이를 잘 지켜 어른에 대한 공경(恭敬)과 나눔의 예(禮)를 실행했다.

섣달 그믐날이 되면 집안의 어른에게 고기나 술 기타 음식을 보내기도 하고, 어른이 아랫사람에게 보내기도 하는데 특이한 점은 아랫사람이 웃어른에게 드리는 세찬은 어른이 보내는 것보다 적어야 한다. 그 이유는 세찬을 빙자해서 뇌물이 오가는 것을 막기 위한 제도로 사회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아름다운 풍속임에 틀림이 없다.

그 외에도 묵은세배, 세모등불행렬 등 이웃과 함께하는 우리네 조상님들의 지혜와 사랑이 담긴 아름다운 풍속이라고 자랑할 만한 소중한 문화이다(家禮圖鑑 2,000년 韓國譜學硏究員 卷根社 참조)

세모(歲暮)!

우리 조상들이 지키려 했던 어쩌면 허상인 것 같지만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의미심장(意味深長)한 문화임에 틀림이 없다. 힘들고 괴로운 일상에서 서로를 위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기위해 자율적으로 행했던 전통의식이 호방스러우면서 정(情)을 깊이 느낄 수 있는 가엾은 아름다움이라 할 수 있다.

한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시각에, 지나온 시간을 성찰(省察)하고 새로운 각오로 새해를 준비하는 것은 큰 의미의 세모(歲暮)에 할 일이라 할 수 있다.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장상현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3.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2.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5.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창의적 아이디어로 미래를 연다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