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간 시장과 도시의 야간 관광 활성화 이미지. 사진=OpenAI DALL·E 이미지. |
시는 과거 (명예) 농업 부시장 제도를 채택·운영한 바 있고, 여·야를 떠나 정무부 시장 대신 경제 부시장 직위를 전략적으로 활용했다.
야간 부시장은 이미 수년 전부터 나타난 전 세계적 트렌드로, 야간 관광 특화를 미래 도시의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방향성에서 비롯했다.
12월 29일 세계축제협회 아시아지부(회장 정강환)에 따르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이 2014년 이 제도를 처음 도입한 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 야간 부시장은 야간 문화·공연·행사 일정을 조율하고, 야간 대중교통 운영 시간 연장으로 내외부 방문객의 이동 편익을 끌어 올렸다. 그 결과 야간 관광 매출이 20% 늘고, 소음 및 치안 문제 감소 효과도 덤으로 봤다.
영국 런던은 2016년 '야간 차르(Czar)' 임명으로 야간 경제를 활성화했다. 24시간 나이트 튜브(지하철) 운영 등 '런던 24시간 도시 비전' 프로젝트를 추진했고, 야간 관광지와 주요 행사를 연계하며 시너지 효과를 봤다. 야간 경제 규모는 연간 약 110조 원에 달하고, 관련 산업 일자리가 140만 개 이상 창출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질세라 프랑스 파리도 2017년 야간 부시장 제도를 도입, 야간 경제와 관광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37억 유로(약 5조 원) 이상의 경제 효과부터 관광객 유입 증가란 순기능을 가져왔다.
호주 시드니는 2018년 야간 경제 전략과 함께 야간 경제 담당 부서를 만들었고, 이를 통해 야시장 및 문화 축제, 공연 예술 및 창작 활동 지원 등에 나서왔다. 이후 GDP가 약 3% 상승했고, 외국 관광객도 크게 늘었다.
미국 뉴욕시도 2018년 '야간 시장(Night Mayor)' 제도를 도입, 야간 경제 총괄 역할을 맡기고 있다. 아리엘 팔리츠(Ariel Palitz)란 민간 전문가(야간 관광 컨설팅 회사)가 초대 여성 시장으로 임명돼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 바 있다. 아일랜드 더블린시의 야간 정책도 유럽의 선도적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 |
야간 관광 특화도시 요건. 사진=문체부 제공. |
시는 2025년을 야간 문화가 꽃피는 원년으로 삼고, 다양한 야간 특화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예시 사업으로는 2024년 8~9월 푸드마켓+콘서트 개념의 '어반 나이트(urban night)' 문화 행사와 전국 200여 개 예술단체가 참여하는 국내 최대의 공연예술 축제인 '코카카 아트 페스티벌(2025년 6월 확정)', 시민 참여형 '도심 야간 캠프닉(5월)' 등을 들었다.
이 과정에서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기존 행정구조에 얽매이지 않는 야간 부시장 제도의 장점을 극대화하기로 했다.
다만 앞으로 남은 숙제가 만만찮다. 12월 야간 빛 축제 하나 운영하기 힘든 재정 구조 아래 지속가능한 '콘텐츠 개발과 도입'이 가능하겠는가란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다시 정리하면, 2025년 야간 관광 베이스는 △5월 낙화 축제 △6월 코카카 아트 페스티벌(한시적) △8월 조치원 복숭아 축제 △8~9월 나성동 어반 나이트 △10월 세종축제 △12월 시민 주도의 야간 빛 축제 △비정기 야간 버스킹 공연 등으로 요약된다.
![]() |
최근 아일랜드 더블린 시청을 찾은 정강환 세계축제협회 아시아지부 회장 등 국내 관광축제 리더들이 더블린시 전문가들과 상호 토론으로 발전적인 대안을 찾고 있다.사진=세계축제협회 제공. |
전문가들은 이 같은 기본 토대 위에 △야간 관광 페스티벌 또는 문화재 야행 △공원의 야간 이미지화 △야간 도보 투어 △노을 야경 투어 버스 △구역별 차 없는 거리 등 규제완화 △야간관광 안내 센터 운영 △지역 호텔과 협업, 야간 콘텐츠 상품 개발 △문화재 및 문화시설 야간 개방 △야간경관 명소화 사업 △자문단 운영 △나이트투어 해설사와 야간 관광경찰 신설 △야간조망 명소 SNS 운영 등의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전 구간(3.6km) 야간 개방 확대로 명소화 추진 △국립세종수목원에 이어 공공시설 야간 개방 전면 확대 △이응패스+관광패스 서비스 확대 △'정원+자전거+박물관+행정수도+한글+빛' 키워드 아래 관광 특화 요소 찾기 등을 접목해 나가야 한다는 제언을 내놓고 있다.
정강환 세계축제협회 아시아지부 회장은 "수년간 국내 도시를 통해 '야간 (부)시장' 제도 도입을 통한 선진 야간 정책 추진을 제안해왔다. 이는 과거의 퇴폐·향락·유흥의 개념이 아니라 도시 성장을 가져올 수 있는 신야간경제관광 개념"이라며 "세종시가 선도적 추진에 나서 고무적이다. 이 같은 흐름이 전국적으로 확산돼 지방소멸 대안의 한 축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