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인구 감소에 따른 소멸위험 기여도 비중.(자료=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제공) |
29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최근 발표한 '충남지역 지방소멸의 주요 특징 및 정책적 시사점'에 따르면 충남지역의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23년 0.47을 기록해 처음으로 지방소멸위험단계(0.5 미만)에 진입했다. 가장 최근 지표인 2024년 11월엔 0.45로 떨어졌다. 이는 17개 광역시·도 중 6번째로 소멸위험이 높은 수준이다. 같은 시기 우리나라의 전체 지방소멸위험지수는 0.59였다.
시군별로 보면 충남 15개 시·군 중 서천, 부여, 청양, 태안, 금산, 예산 등 6개 지역은 지방소멸 고위험단계(0.2 미만)에 직면했다. 이밖에 6개 지역은 위험단계, 3개 지역은 주의단계에 머물렀다. 현재의 하락 추세를 유지할 경우 2042년엔 충남 전체가 지방소멸위험지수 고위험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대적으로 소멸 위험이 낮은 천안과 아산도 2036년에는 지방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충남지역의 지방소멸위험지수를 하락시킨 주요 원인은 고령화 진행과 여성 인구 감소 등이다. 지난달 기준 충남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는 21만 명으로 2015년 대비 4만 명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3만 명 증가해 47만 명으로 지수 하락을 부추겼다.
충남지역 인구 이동 현상의 특징은 유입 인구 대부분이 남성에 집중되고 여성 인구는 순유출된다는 점이다. 2015년부터 2023년까지 20·30세대 남성 인구의 순유입은 약 1만 1000명 정도였지만, 여성은 8000명가량 순유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한은 대전세종충남본부 경제조사팀은 충남지역 여성 인구 이탈 현상의 핵심 원인으로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지목했다. 제조업 분야는 높은 물리적 노동 강도에 따라 남성 중심의 일자리가 많을 수밖에 없어서다. 결국 제조업에 종사하는 여성 인구 비율이 낮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특성도 지닌다.
반면, 여성 인구 참여 비율이 높은 충남지역의 서비스업 비중은 34.2%로 전국(63.8%)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는 지역 내 서비스 산업의 고용 확대에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로 인해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여성 인구의 지역 내 정착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조광래 경제조사팀 과장은 "지역 내 여성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서비스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제조업과 같은 주력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는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며 "온라인 기반 서비스업의 수도권 집중에 대응해 제2 본사, 거점 오피스 등 본사의 기능 일부 및 연관 산업을 지역으로 적극 유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충남 북부권과 남부권의 격차도 커지고 있는 만큼, 지방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남부권의 기본적인 생활 인프라 개선과 특화산업 육성을 통한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