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균 소장 |
80년대 빛을 감추고 은밀하게 힘을 기른다는 '도광양회(韜光養晦)' 정책은 인내하는 중국인을 만들었다. 한동안 불필요한 외교적 마찰은 피했다. 그런 가운데 중국은 급성장하며 급기야 세계무대의 정상에 섰다. 90년대 이제 할 말은 하겠다는 '유소작위(有所作爲)'로의 전환이다.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펼치며, 때로는 '평화로운 굴기'를 말하고, 때로는 강하게 압박하는 '돌돌핍인'을 말했다. 의견이 다르면 나중을 기약하자는 강자의 여유도 보였다. 같음을 추구하고 다름으로 다투지 말자는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외교정책이다.
21세기 들어서며 '화이부동(和而不同)'을 내세웠다. 화해와 화합이 중요한 것이지 꼭 같을 필요는 없다는 '논어'의 내용이다. 동시에 세계를 하나의 띠로 만들자는 '일대일로(一帶一路)'의 거대한 프로젝트도 나왔다. 동서를 하나로 연결한 당나라의 실크로드를 회상하며 엮어낸 21세기 신실크로드 작업이다.
그런 가운데 자라나는 세대의 일상적인 모습도 달라졌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각 시대마다 태어난 이들의 성향이 달랐던 것이다. 80년대 '도광양회'의 시대에 태어난 빠링허우, 90년대 '할 말은 하고 살자' 시대의 지우링허우, 그리고 2천년대 인터넷과 모바일에 능숙한 일명 '디지털원주민' 세대인 링링허후가 그들이다. 각기 다른 방법과 내용으로 시대를 풍미하기에 나온 이름들이다.
빠링허우, 지우링허우 세대는 하나만 낳던 시절 이야기다. 일명 소황제(小皇帝), 소공주(小公主)로 자란 이들은 가정의 온갖 사랑을 독차지하며 자랐다. 아낌없이 받는 것에 익숙한 그들은 씀씀이도 컸다. 소비가 필수인 시장 경제 활성화에 이들의 역할이 컸음을 말한다. 그리고 디지털혁명으로 완전히 사회구조가 바뀐 환경에서 링링허우세대가 나왔다. 부족함이 없는 온갖 풍족함을 누리는 세대의 등장이다. 아이도 둘 이상 낳을 수 있다. 이들은 어려서부터 해외여행은 물론 각종 경험을 하며, 다양성과 개방성을 동시에 갖춘 세대다. 자신만의 취미 생활을 위해 주말 장거리 항공여행도 불사한다. 현재 대학교 재학 중인 아이들이야기다.
중국 대학의 특징은 거의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을 하는데 있다. 교육과 생활은 철저한 공동체생활에 기반한다. 하지만 같은 공동체생활이라도 8,90년대 학생들과 링링허우는 많이 다르다. 8,90년대 학생들은 같은 교실, 같은 교과서, 같은 커리큘럼으로 공부했다. 학생 간 개인적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다. 대부분 학생들의 학습 진도가 비슷했다. 하지만 링링허우는 이들과 많은 차이가 있다. 관심분야도 공부내용도 개인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르다. 8,90년대 기준으로 요즘 학생들을 평면 비교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다. 그러면서도 이들은 아이돌 음악이 나오면 몸이 저절로 반응하며 떼창으로 대응한다. 수줍어하며 빼는 아이도 없다. 개인주의 성향 속 그들만의 공동체문화의 자연스런 표현이다.
링링허우, 젓가락보다는 포크를, 뜨거운 차보다는 아이스커피를 찾는 전과 다른 세대이지만, 공동체생활 속 배려와 존중의 기본예절만은 전과 같다. 혹시 왕따가 있다면 어떻게 하는가를 물었다. 왕따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학칙이 허락하지 않는다고 했다.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고, 이를 존중하는 풍토라도 공동체생활에 따른 엄한 규칙과 규율은 예나지금이나 같은 것 같다. 거기에 다양한 체육활동은 공동체생활에 따른 무료함을 달래주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체육과목이 필수이고, 과외활동으로 진행되는 각종 경기대회는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주는 기폭제가 된다. 21세기 우리와 함께 가야할 중국의 링링허우세대 이야기다.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