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내가 본 중국의 링링허후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내가 본 중국의 링링허후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 승인 2024-12-29 17:09
  • 신문게재 2024-12-30 19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김덕균
김덕균 소장
중국은 초강대국 미국에 유일하게 'No'라고 말하는 나라다. 처음부터 그런 건 아니다. 아직 때가 아닐 때는 불필요한 의욕을 앞세우지 않았다. 과거 전통사회의 화려하고 웅장했던 기억도 드러내지 않았다. 의욕이 없는 게 아니라 아직 때가 아니라는 최고지도자의 정치적 판단 때문이다.

80년대 빛을 감추고 은밀하게 힘을 기른다는 '도광양회(韜光養晦)' 정책은 인내하는 중국인을 만들었다. 한동안 불필요한 외교적 마찰은 피했다. 그런 가운데 중국은 급성장하며 급기야 세계무대의 정상에 섰다. 90년대 이제 할 말은 하겠다는 '유소작위(有所作爲)'로의 전환이다.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펼치며, 때로는 '평화로운 굴기'를 말하고, 때로는 강하게 압박하는 '돌돌핍인'을 말했다. 의견이 다르면 나중을 기약하자는 강자의 여유도 보였다. 같음을 추구하고 다름으로 다투지 말자는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외교정책이다.

21세기 들어서며 '화이부동(和而不同)'을 내세웠다. 화해와 화합이 중요한 것이지 꼭 같을 필요는 없다는 '논어'의 내용이다. 동시에 세계를 하나의 띠로 만들자는 '일대일로(一帶一路)'의 거대한 프로젝트도 나왔다. 동서를 하나로 연결한 당나라의 실크로드를 회상하며 엮어낸 21세기 신실크로드 작업이다.

그런 가운데 자라나는 세대의 일상적인 모습도 달라졌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각 시대마다 태어난 이들의 성향이 달랐던 것이다. 80년대 '도광양회'의 시대에 태어난 빠링허우, 90년대 '할 말은 하고 살자' 시대의 지우링허우, 그리고 2천년대 인터넷과 모바일에 능숙한 일명 '디지털원주민' 세대인 링링허후가 그들이다. 각기 다른 방법과 내용으로 시대를 풍미하기에 나온 이름들이다.



빠링허우, 지우링허우 세대는 하나만 낳던 시절 이야기다. 일명 소황제(小皇帝), 소공주(小公主)로 자란 이들은 가정의 온갖 사랑을 독차지하며 자랐다. 아낌없이 받는 것에 익숙한 그들은 씀씀이도 컸다. 소비가 필수인 시장 경제 활성화에 이들의 역할이 컸음을 말한다. 그리고 디지털혁명으로 완전히 사회구조가 바뀐 환경에서 링링허우세대가 나왔다. 부족함이 없는 온갖 풍족함을 누리는 세대의 등장이다. 아이도 둘 이상 낳을 수 있다. 이들은 어려서부터 해외여행은 물론 각종 경험을 하며, 다양성과 개방성을 동시에 갖춘 세대다. 자신만의 취미 생활을 위해 주말 장거리 항공여행도 불사한다. 현재 대학교 재학 중인 아이들이야기다.

중국 대학의 특징은 거의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을 하는데 있다. 교육과 생활은 철저한 공동체생활에 기반한다. 하지만 같은 공동체생활이라도 8,90년대 학생들과 링링허우는 많이 다르다. 8,90년대 학생들은 같은 교실, 같은 교과서, 같은 커리큘럼으로 공부했다. 학생 간 개인적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다. 대부분 학생들의 학습 진도가 비슷했다. 하지만 링링허우는 이들과 많은 차이가 있다. 관심분야도 공부내용도 개인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르다. 8,90년대 기준으로 요즘 학생들을 평면 비교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다. 그러면서도 이들은 아이돌 음악이 나오면 몸이 저절로 반응하며 떼창으로 대응한다. 수줍어하며 빼는 아이도 없다. 개인주의 성향 속 그들만의 공동체문화의 자연스런 표현이다.

링링허우, 젓가락보다는 포크를, 뜨거운 차보다는 아이스커피를 찾는 전과 다른 세대이지만, 공동체생활 속 배려와 존중의 기본예절만은 전과 같다. 혹시 왕따가 있다면 어떻게 하는가를 물었다. 왕따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학칙이 허락하지 않는다고 했다.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고, 이를 존중하는 풍토라도 공동체생활에 따른 엄한 규칙과 규율은 예나지금이나 같은 것 같다. 거기에 다양한 체육활동은 공동체생활에 따른 무료함을 달래주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체육과목이 필수이고, 과외활동으로 진행되는 각종 경기대회는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주는 기폭제가 된다. 21세기 우리와 함께 가야할 중국의 링링허우세대 이야기다.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고교 당일 급식파업에 학생 단축수업 '파장'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2.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탄핵정국 4·2 재보궐 충청 민주 2승 국힘 1승

탄핵정국 4·2 재보궐 충청 민주 2승 국힘 1승

탄핵정국 민심을 가늠할 충청권 4·2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2승 국민의힘이 1승을 각각 나눠가졌다. 충청권은 전통적으로 전국민심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지역으로 이번 선거 결과에 정치권이 주목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아산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오세현 후보가 득표율 57,61%(6만5912표)를 득표하며 당선됐다. 대전시의원(유성2) 선거에서 민주당 방진영 후보가 당선됐다. 방 후보는 47.17%(8000표)를 득표했다. 국민의힘 강형석 후보는 40.37%(6847표), 조국혁신당 문수연 후보는 12.44%(2110표..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국내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약 9500여 만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40대 차주의 평균 대출 잔액은 1억 1073만 원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553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12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1인당 대출 잔액은 지난 2023년 2분기 말(9332만 원) 이후 6분기 연속 증가했다. 1년 전인 2..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 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