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중 조선족은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로, 주로 한반도에서 기원해 중국 동북 지역(만주)으로 이주한 한민족의 후손입니다. 조선족의 역사는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 그리고 해방 이후로 나뉩니다.
조선족은 한글을 중심으로 민족적 언어를 보존하면서도, 중국어(한어)와의 이중언어 환경에 능숙합니다. 이 언어적 특성은 다른 소수민족과 차별화되는 조선족만의 강점으로, 중국 내 조선족 학교에서 교육을 통해 체계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중언어 능력은 중국 사회 내에서의 적응력을 높이고, 국제적 활동에서도 유리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조선족은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교량 역할을 하며 독특한 정체성을 발전시켰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국 내 민족으로서의 정체성과 한민족으로서의 연결성을 동시에 강조하며, 두 문화권 사이에서 중요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조선족은 전통적인 한국어, 음식, 의복, 명절 등을 통해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설날과 추석 같은 전통 명절을 기념하며, 한복을 입거나 김치를 담그는 문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조선족은 중국 내 다수 민족인 한족 및 기타 소수민족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적 생활방식도 수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춘절(설날)이나 전통적 생활 관습을 함께 경험하며, 조선족 공동체 내에서도 중국 문화적 요소가 스며들었습니다.
조선족은 중국과 한국 사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민족으로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조선족은 한국어를 사용하지만 실제로 한국에서는 영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외래어를 굉장히 많이 사용합니다. 이렇게 조선족과 한국은 "같으면서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선족과 한국과의 민족적 유대와 공통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한다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습니다.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존중과 문화적 차이에 대한 관용, 다양한 문화의 사회적 포용과 인식개선을 위한 노력이 중요합니다. 한혜숙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