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패스' 2024 세종시 최고 히트 상품...2025년 변화는

  • 정치/행정
  • 세종

'이응패스' 2024 세종시 최고 히트 상품...2025년 변화는

9월 10일 본격 도입 이후 대중교통 활성화와 근본 취지에 부합
대중교통 이용 건수 10% 대 증가율...어울링 148% 확대 등 시너지 톡톡
유료 이용자 비중도 41%까지 확대...'1만 원 패스' '관광 패스' 도입 예고

  • 승인 2024-12-25 07:19
  • 수정 2024-12-28 09:24
  • 신문게재 2024-12-26 4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1225_071512457
이응패스 앱과 어울링 대여 화면. 이응패스와 어울링은 상호 시너지 효과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가져오고 있다. 사진=이응패스 앱 갈무리.
2024년 세종시의 최고 히트 상품으로 통하는 '이응패스'. 9월 10일 본격 도입 이후 실적도 이에 부합하는 수치로 나타났을까.

관건은 자가용을 내려놓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패턴의 변화로 모아진다.

12월 25일 세종시가 제공한 자료를 보면, 일단 9월 10일~11월 30일 기준 대중교통 이용 건수는 전년 대비 11.6% 늘었고, 주말 기준으로 14.6%로 좀 더 확대됐다. 주목할 부분은 이 수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데 있다.

이응패스 사용자(12월 4만 3596명)의 대중교통 이용건수가 늘어난 데 따른 결과물이다. 11월 기준 버스와 어울링 이용 건수는 첫 달 대비 각각 169%, 148% 증가하며 대중교통 전반의 활성화에 톡톡히 기여했다.



운송 수입 역시 같은 기간 평일 11.1%, 주말 12.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평균 운송수입은 평일 8573만 7000원, 주말 4859만 8000원이다. 일 평균 163만여 원으로 환산된다.

'만 70세 이상 고령층과 민 9세 이상~18세 이하 청소년, 장애인 등 이응패스 무료 이용자 비중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 아닌가'란 우려도 불식하고 있다. 무료 이용자 비중은 9월 64%, 10월 61%에서 11월 59%까지 줄었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 어르신이 1만 1453명으로 전체 이용자의 약 40%를 점유하고 있다. 유료 이용자는 40대(3354명)와 20대(2919명), 50대(2479명), 30대(2435명)에서 가장 많았다.

대중교통 이용 건수
이응패스 도입 이후 대중교통 활성화 지표. 사진=세종시 제공.
유료 회원은 매월 3만 7316원, 무료 회원은 매월 1만 5868원 수준에서 환급 혜택을 봤다. 2만 원을 내고 그 이상 이응패스 카드를 활용하는 시민들이 10월 기준 1만 6634명에 이르면서, 이 같은 성과로 이어졌다. 대학생을 포함한 20대가 월평균 5만 1585원 이용으로 가장 활성화된 수치를 보였다. 5만 원 이상 사용하는 전체 이용자도 7275명에 달했다.

이응패스 도입은 어울링 이용 확대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9월 10일~11월 30일까지 어울링 이용 건수는 전년 같은 시기와 비교해 5.1%, 주행거리는 120.9%, 탄소저감 효과는 120.8% 각각 증가했다. 자가용 이용자 대신 어울링 이용자가 되레 버스로 흡수되는 등의 마이너스 단면은 보이지 않았다.

버스 전면 무료화의 차선책으로 도입된 이응패스가 명실상부한 히트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회적 비용이 더 늘어난 건 사실이나 미래 교통 지·정체 현상 완화와 기후위기 대응 등의 효과를 고려하면, 착한 적자로 다가온다.

이응패스는 2025년에도 기대주로 통한다. 시가 1만 원으로 3만 원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이응패스 버전2도 선보일 예정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외지 방문객의 '관광패스' 도입안도 찾고 있고, 세종시에서 나인투식스(오전 9시~오후 6시)로 근무하는 타지의 생활인구에 대한 혜택 부여도 구상하고 있다.

이응패스의 계속되는 혁신은 곧 대중교통 중심도시 면모를 강화하고, 관광 활성화로 이어지는 기제가 될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尹 파면] 대통령실 세종 완전이전 당위성 커졌다
  3.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4.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5.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3.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4.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5.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