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청 전경.=중도일보DB |
포항시, 김천시, 안동시, 구미시, 상주시, 영주시, 영천시, 경산시, 칠곡군, 예천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이 선정돼
특별교부금 30억 원과 지방비 30억 원 등 총 60억 원의 재정지원과 학교설립부터 학교시설 및 폐교 활용, 교육과정 등 지역 특성 맞춤형 특례를 적용하여 공교육 혁신을 도모하고 인재 양성과 정주 기반 조성을 연계해 지역발전을 견인한다.
도는 교육발전 특구에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약 480억 원의 도비를 투입해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 초중고-대학 연계 강화, 지역인재 양성과 산업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발전 전략을 세워 시군과 함께 강력하게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도는 13개 시군의 산업 강점, 특화 교육 자원, 지역 대표 사업 등을 교육발전 특구와 연계해 추진한다.
민선 8기 경북이 유치한 정부 정책 특구인 기회발전특구, 국가산단, 국가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클러스터 등과 함께 추진되고 있어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지역에서 태어나 공부하고 취업해 결혼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는 정주형 사회를 만들겠다. 시군과 함께 지방 주도의 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저출생을 극복해 진정한 지방시대를 경북에서 먼저 열어 가겠다" 고 말했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