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갈 일, 볼 일, 쓸 일 다음"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갈 일, 볼 일, 쓸 일 다음"

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 승인 2024-12-23 10:39
  • 신문게재 2024-12-24 19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조훈성 연극평론가
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미루어진 글, 이제 풍경소리 마지막 회차 게재일을 확인한다. 본래는 한강의 노벨상 시상식 소식도 전해야 했고, 비상계엄 및 탄핵정국에 대한 열기도 새기려고도 했다. 참 우연찮게도 그 문학 안의 무자비한 폭력과 학살의 트라우마의 바탕이 어쩌면 내 눈앞에서 실제로 다시 벌어질 뻔 했었다. 나는 그 비상계엄의 밤을 꼬박 새웠으며, 분노하였고 거리에 나왔었다. 물론 이 세계는 여전히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이들이 또 다른 거리의 겨울 광장에서 그 괴물들을 위해 태극기를 흔들고 우국의 기도회를 열고 있는 것도 보았다.

누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육하원칙을 끌어대 우리의 분열과 갈등을 조장한 그 원흉을 찾아내고 싶다. 하타사와 세이고 원작의 연극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가 최근 다시 공연되고 있다. 기존의 '학교 폭력' 관련한 작품들이 당사자인 가해자, 피해자 청소년의 시선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이 작품은 아이들은 등장하지 않고 그 부모들의 대화를 통해 그 폭력을 직면하게 하고 폐쇄된 상담실 공간에서 냉정한 시선으로 그 사건을 바라보게 한다. 그래서 자녀가 저지른 범죄를 은폐하려는 부모들의 추악하고 이기적인 모습을 담아내고 있는데, 단지 '학교폭력'으로 국한시키지 않고 본다면 오늘의 이 답답한 탄핵정국에 윤리의식이 마비된 채, 어떻게든 자신들이 저지른 역사적 과오를 덮어보고자 하는 시도들을 날선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내 지금의 열기를 만드는 게 그 평범한 악의 얼굴들이 이편에 건네는 말이 기껏해야 자신들은 도정된 역사에 휘말렸다는 식의 항변이다. 어쩔 수 없이 저질러진 일이라는 그 반복적 수사는 우리 가슴 아픈 현대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이기도 하다. 노벨상을 받은 한강의 작품에서 뿐만이 아니라, 가까이 있는 수많은 연극의 무대는 바로 이 거대 권력에 의해 저질러진 폭력과 그에 희생당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태반이다. 악한 그들은 그들 자신의 그릇된 욕망을 위해 부당한 권력을 행사하고 만행을 저질러왔다. 그럼에도 또 이들은 씻을 수 없는 상처 입은 희생자 앞에서 진심어린 사과를 결코 하지 않는 것도 일반적이다. '치유'라는 게 트라우마 당사자 스스로 그 깊숙한 상처를 드러내서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늘 그것을 되새기는 일은 그래서 고통스럽고 반복하고 싶지 않은 일인 것만은 확실하다.

전남 무안에서 '손톤 와일더' 원작의 연극 <우리읍내>(손재오 연출/무안승달문화예술회관/11.28)에 대해 쓰고 있는데, "이곳저곳이 '우리읍내'다."라는 마침표를 미리 찍어둔다. 전남 무안사람들의 한 세대의 삶이 주마등처럼 펼쳐지면서 평범하고 소박한 사람들의 삶을 바라보면서 그 하루하루의 일상의 소중함을 다시 곱씹지 않을 수 없다. 연극의 끄트머리 '무대감독'의 "살면서 자기 삶을 제대로 깨닫는 인간이 있을까요? 매 순간마다요?"라는 대사 한 구절이 뜬금없이 서럽고 뜨겁다. 평범한 일상의 가치는 그 하나하나의 열렬한 삶을 평범하게 보이게 하는 우리들 스스로의 얼굴에 있지 않은가 싶다. 그 찬란한 오늘, 내일이 이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은 또 우리들 스스로의 권리이고 의무가 아닌가 생각이 들면서 나는 이 겨울, 딱딱한 신발에 다시 발을 구겨 넣고, 찬바람 부는 거리를 찾는다. 그 거리 다시 서서보니 수많은 성냥개비들의 불씨가 묶여 형형색색 다른 불기운들이 큰 파도로 일렁이는데, 추울까 괜한 걱정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부산의 바람도 오래간만에 맞고 왔는데, 극단 일터의 <산사람들>(류현희 작·연출/일터소극장)이야기를 덧붙여야겠다. 예전 그이들이야말로 이 찬바람 부는 광장에서 몇 층의 철골 비계에 올라 머리띠를 묶으며 어마어마한 단결의 함성을 만들어냈던 주역들이었는데, 오늘의 연극은 말 그대로 '산사람들', 이른 새벽의 한 야트막한 터에서 함께 운동하는 동네 사람들의 이야기다. 모든 연극이 거대한 역사 서사와 존재 철학의 질문에 숨차할 필요는 없는 것처럼, 이 연극의 목소리, 함께 운동하며 작은 캐리어에 넣어둔 그 누군가의 생활 하나하나까지도 언제나 꺼내볼 수 있는 소박한 삶의 고민과 생활을 나누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담히 전해진다. 함께 공유하는 작은 땅의 이야기 속에 어쩌면 우리는 그 잃어버린 '곁', 그 시시콜콜한 생활 주변을 공유했던 시절을 다시 갖고 싶은지도 모르겠다. '갈 일', '볼 일', '쓸 일' 다음에 나는_ 그 열렬한 삶이 무엇인지 깨달아야만 한다. 내일을 또 걱정하면서. /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