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
누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육하원칙을 끌어대 우리의 분열과 갈등을 조장한 그 원흉을 찾아내고 싶다. 하타사와 세이고 원작의 연극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가 최근 다시 공연되고 있다. 기존의 '학교 폭력' 관련한 작품들이 당사자인 가해자, 피해자 청소년의 시선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이 작품은 아이들은 등장하지 않고 그 부모들의 대화를 통해 그 폭력을 직면하게 하고 폐쇄된 상담실 공간에서 냉정한 시선으로 그 사건을 바라보게 한다. 그래서 자녀가 저지른 범죄를 은폐하려는 부모들의 추악하고 이기적인 모습을 담아내고 있는데, 단지 '학교폭력'으로 국한시키지 않고 본다면 오늘의 이 답답한 탄핵정국에 윤리의식이 마비된 채, 어떻게든 자신들이 저지른 역사적 과오를 덮어보고자 하는 시도들을 날선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내 지금의 열기를 만드는 게 그 평범한 악의 얼굴들이 이편에 건네는 말이 기껏해야 자신들은 도정된 역사에 휘말렸다는 식의 항변이다. 어쩔 수 없이 저질러진 일이라는 그 반복적 수사는 우리 가슴 아픈 현대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이기도 하다. 노벨상을 받은 한강의 작품에서 뿐만이 아니라, 가까이 있는 수많은 연극의 무대는 바로 이 거대 권력에 의해 저질러진 폭력과 그에 희생당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태반이다. 악한 그들은 그들 자신의 그릇된 욕망을 위해 부당한 권력을 행사하고 만행을 저질러왔다. 그럼에도 또 이들은 씻을 수 없는 상처 입은 희생자 앞에서 진심어린 사과를 결코 하지 않는 것도 일반적이다. '치유'라는 게 트라우마 당사자 스스로 그 깊숙한 상처를 드러내서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늘 그것을 되새기는 일은 그래서 고통스럽고 반복하고 싶지 않은 일인 것만은 확실하다.
전남 무안에서 '손톤 와일더' 원작의 연극 <우리읍내>(손재오 연출/무안승달문화예술회관/11.28)에 대해 쓰고 있는데, "이곳저곳이 '우리읍내'다."라는 마침표를 미리 찍어둔다. 전남 무안사람들의 한 세대의 삶이 주마등처럼 펼쳐지면서 평범하고 소박한 사람들의 삶을 바라보면서 그 하루하루의 일상의 소중함을 다시 곱씹지 않을 수 없다. 연극의 끄트머리 '무대감독'의 "살면서 자기 삶을 제대로 깨닫는 인간이 있을까요? 매 순간마다요?"라는 대사 한 구절이 뜬금없이 서럽고 뜨겁다. 평범한 일상의 가치는 그 하나하나의 열렬한 삶을 평범하게 보이게 하는 우리들 스스로의 얼굴에 있지 않은가 싶다. 그 찬란한 오늘, 내일이 이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은 또 우리들 스스로의 권리이고 의무가 아닌가 생각이 들면서 나는 이 겨울, 딱딱한 신발에 다시 발을 구겨 넣고, 찬바람 부는 거리를 찾는다. 그 거리 다시 서서보니 수많은 성냥개비들의 불씨가 묶여 형형색색 다른 불기운들이 큰 파도로 일렁이는데, 추울까 괜한 걱정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부산의 바람도 오래간만에 맞고 왔는데, 극단 일터의 <산사람들>(류현희 작·연출/일터소극장)이야기를 덧붙여야겠다. 예전 그이들이야말로 이 찬바람 부는 광장에서 몇 층의 철골 비계에 올라 머리띠를 묶으며 어마어마한 단결의 함성을 만들어냈던 주역들이었는데, 오늘의 연극은 말 그대로 '산사람들', 이른 새벽의 한 야트막한 터에서 함께 운동하는 동네 사람들의 이야기다. 모든 연극이 거대한 역사 서사와 존재 철학의 질문에 숨차할 필요는 없는 것처럼, 이 연극의 목소리, 함께 운동하며 작은 캐리어에 넣어둔 그 누군가의 생활 하나하나까지도 언제나 꺼내볼 수 있는 소박한 삶의 고민과 생활을 나누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담히 전해진다. 함께 공유하는 작은 땅의 이야기 속에 어쩌면 우리는 그 잃어버린 '곁', 그 시시콜콜한 생활 주변을 공유했던 시절을 다시 갖고 싶은지도 모르겠다. '갈 일', '볼 일', '쓸 일' 다음에 나는_ 그 열렬한 삶이 무엇인지 깨달아야만 한다. 내일을 또 걱정하면서. /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