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한국화 6대가(大家)는 의제 허백련(毅齊 許百鍊, 1891~1977), 이당 김은호(以堂 金殷鎬, 1892~1979), 심향 박승무(深香 朴勝武, 1893~1980), 청전 이상범(靑田 李象範, 1897~1972), 심산 노수현(心汕 盧壽鉉, 1899~1978), 소정 변관식(小亭 卞寬植, 1899~1976)이다. 저마다 개성이 강하여 독특한 창작세계를 보여준다.
6대가 모두 소림 조석진(小琳 趙錫晋, 1853 ~ 1920)과 심전 안중식(心田 安中植, 1861 ~ 1919)으로부터 사사 받거나 깊이 연관이 있다. 소림과 심전 역시 인연이 깊다. 둘 다 조선의 마지막 도화서 화원이다. 1881년 신식 무기 제조법과 조련법을 배우기 위하여 중국으로 떠났던 영선사(領選使) 일행의 제도사(製圖士)로 발탁된다. 관비 유학으로 톈진(天津)에서 1년 동안 견문을 넓히고 돌아온다. 1902년 고종의 어진 도사(御眞圖寫) 화사(?師)로 함께 선발된다. 1911년 이왕가의 후원으로 설립된 서화미술원(書?美術院)에서 교수로 재직한다. 이곳에서 한국 근대 전통회화를 주도하는 많은 화가가 배출된다. 1919년 서화협회를 조직하여 초대회장은 심전이, 2대 회장엔 소림이 선출된다. 전통 회화와 근현대 회화의 가교역할을 한 것이다.
안중식 <탑원도소회지도(塔園屠蘇會之圖)> 종이에 옅은 채색, 23.4 x 35.4cm,1912년, 간송미술관 소장 |
멀리 운무 속에 탑이 보인다. 원각사 10층 석탑(국보, 1962)의 상층부로 짐작된다. 밤안개 또는 물안개가 자욱한 뭔가 침울한 분위기다. 함께한 사람들이 호수 가장자리 누각에 놓인 간소한 주안상에 둘러앉았다. 일종의 아회도로서 기록 또는 기념하기 위한 것처럼 보이는 데, 탁월한 조형력으로 아름답게 승화시킨 것이 돋보인다. 호선형 구도나 농담에 의한 원근법도 근현대적이다.
오세창은 <만세보>, <대한민보>의 사장을 지낸 언론인이자 지식인으로 일본을 질타한다. 간송 전형필(澗松 全鎣弼, 1906 ~ 1962)과 손잡고 문화재 수집 및 보존에 앞장선 선각자이다. 전서, 예서에 뛰어난 서예가이기도 하며, 당대 최고의 서화 감식안으로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과 <근역서휘(槿域書彙)>등을 저술했다. 안중식과 더불어 '서화가협회'를 창립, 전통 미술 보전을 위한 미술가 양성에도 일조했다.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명으로 활약했으며, 광복 후 미 군정청으로부터 조선왕조 국새를 인계받는 민족대표로 선정되었다.
도소주는 초백주(椒柏酒)와 함께 오래 전부터 세주(歲酒)로 썼던 술이다. 설날 아침에 차례를 지내고 마시는 약주이다. 마시면 괴질(怪疾)과 요사스럽고 사악한 기운(邪氣)을 물리치며 장수한다고 믿었다. 새로워지는 것이다.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지금 벌어지고 있는 정치상황은 망국의 그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대단히 심각하다. 세밑과 세시에 술자리가 대단히 많다. 흥청망청 보내자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물론, 위기에 처했다고 모든 일상을 접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새 희망으로 새해를 맞이하면 얼마나 좋으랴. 위안과 안정, 비전과 진로모색, 심기일전이 필요하다. 그러한 만남의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