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네덜란드 요한크루이프 아레나, 일본 오사카 나가이 스테디움, 호주 시드니 올림픽 스테디움, 일본 스이타 축구 경기장. 사진=행복청 제공. |
미래 세종시 '종합체육시설'이 과거형 종합운동장과 실내체육관 모델을 답습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행복청(청장 김형렬)은 12월 17일 체육시설 전문가인 한국체대 김미옥 교수를 초빙해 종합운동장 건립사업의 성공 추진 전략을 모색했다. 김 교수는 서울대 도시계획 박사 학위 취득 후 국민체육진흥공단 산하 스포츠과학원 등에 근무하며, 체육정책과 스포츠 산업,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한 체육시설 전문가다.
초점은 종합체육시설 건립 계획의 재검토에 뒀다. 2025년 이전 대평동 입지에 자리 잡을 것이란 구상은 희망고문이 됐고, 2027년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를 겨냥한 준공 역시 무산되면서다.
지역 사회에선 이전 시 정부부터 과거형 모델 추진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이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인 대전과 청주, 공주에 유사한 종합운동장과 실내체육관이 있는 현실에서 전국 시·군 어디서나 비효율 시설로 자리 잡은 모델을 준용해왔던 게 사살이다.
이 때문에 사계절 연중 수시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코로나19 이전부터 꾸준히 흘러나왔다. 일각에선 종합체육시설을 중앙공원 등의 대체 부지로 옮기고, 최적 도시 기능을 다시 계획하자는 주장도 제기한 바 있다.
정부와 민간 기업들 역시 이 같은 상황 판단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결국 정부는 '종합운동장' 유보, '종합체육시설' 승인이란 반쪽 결과물을 내려보냈고, 민간 기업들은 종합체육시설마저 사업성이 없다고 봤다.
이에 행복청은 이 자리에서 국내·외 체육시설 건립 전반의 동향과 건립 방향성을 점검하고, 사업모델 발굴과 타당성 확보 전략을 모색했다. 세종시 담당자도 다양한 의견을 쏟아냈다.
김 교수는 글로벌 체육시설과 스포츠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소개하면서, 복합문화공간화와 지속 가능성, 지역 사회와 연계성, 수익성 확보 전략 등 현대 체육시설의 필수 요소를 강조했다. 성공 체육시설 건립을 위한 국내·외 우수사례 적용도 제안했다. 시민사회의 새로운 콘셉트 제안과 같은 맥락으로 다가온다.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배치도. |
해외 사례로는 △네덜란드 요한크루이프 아레나(유지관리비 절감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위해 지붕에 태양광 발전시설 도입) △일본 스이타 축구경기장(지역사회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 민간기업 스폰서십, 고향사랑기부제 등의 모금을 활용해 건립) △시드니 올림픽 스테디움(기업 대상 스카이박스 판매, 회원권 판매 등으로 운영비 조달) 등도 제안됐다.
최형욱 시설사업국장은 "이번 강연은 국내·외 우수 사례를 통해 종합체육시설이 단순 경기장이 아닌 지역 사회와 긴밀히 연계된 다목적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줬다"라며 "앞으로 행복도시 위상에 걸맞은 품격 있는 종합체육시설 건립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행복청은 이날 사례들을 토대로 시설 복합화, 사업성 향상 방안 등이 포함된 체계적인 추진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단면도.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