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나성동 중심상권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
2024년 12월 3일 계엄령 발동과 함께 더욱 얼어붙은 상권이 14일 대통령 탄핵안 통과 이후 녹을 것이란 전망은 엇나갔다.
민간 기업과 지방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회식 재개 분위기가 감지됐으나, 정부세종청사 공직자들은 여전히 조심스런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 대행 체제란 불안 정국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이 때문인지 43개 중앙행정기관이 있는 정부세종청사 공직자들은 여전히 '저녁 회식' 자제령 상황에 놓여 있다.
청사의 한 공직자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저녁 회식 자체를 권고하고 있다. 다수의 공직자들도 이에 발맞춰 오찬 모임으로 일정을 변경하고 있다"라며 "세종시 식당가 등 상권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걱정"이라고 말했다.
중앙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지방 공직사회도 지갑 열기를 주저해왔던 게 사실이다. '집행부 vs 의회' 간 첨예한 대립 구도 자체가 상권 소비 위축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 지난 9월부터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를 둘러싼 소모적 논란이 지속됐고, 12월 16일 제94회 시의회 정례회 폐회 시점까지 '2025년 예산안' 논쟁도 진행형에 있다.
12월 13일 우여곡절 끝에 시민 추진단에 의해 막을 올린 '빛 축제'가 주변 상권 활성화에 얼마나 기여 할 지는 두고 봐야 한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대통령 탄핵안의 헌법재판소 인용 또는 기각 시점까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데 있다.
지역 소상공인 관계자는 "우원식 의장이 탄핵안 통과 이후 '회식' 정상화를 제안했으나 체감 효과는 크지 않다"라며 "조금 나아지는 감도 있으나, 주변 상권에서 저녁 식사 예약 취소로 울상이란 얘기를 계속 듣고 있다"며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5%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했던 '여민전 카드'가 11월 초 금액 소진으로 중단된 상황도 악재로 꼽힌다. 연말연시 가족·지인을 위한 '선물' 마련도 난제다. 쇼핑몰이나 아울렛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지역 공기업의 한 관계자는 "연말연시 업무 공로자들을 위한 넥타이 등의 선물을 사러 나갔으나 살 곳이 없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며 "주변 직원들에게 물어보니, 대부분 대전이나 청주로 나가 소비하고 있다"는 상황도 언급했다.
이 때문에 지역 사회에선 세종시와 시교육청, 시의회, 경찰청 등 지방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소비 촉진 시그널을 보내고, 실행에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