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수상은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인 'k-마어서대피'를 위한 1마을 1대피소 지정 및 안전 점검과 사전대피자용 일시구호세트 지원사업, 마을대피소 안전 물품 제작 및 비치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 마을 1대피소 사업은 재난 종류와 관계없이 재난 발생 시 마을별 주 거점대피소를 지정하고, 3월부터 5월까지 재난관리기금 2억 원을 투입해 시군과 안전 전문가 그룹을 통해 마을대피소를 합동 안전 점검하고, 7월까지 마을대피소에 소방안전교부세 5억 원을 투입해 대피소별로 메가폰, 밧줄, 경광봉, 손전등 등 안전 물품을 제작·비치해 재해구호 활동을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한 사업이다.
사전 대피자 용 일시 구호 세트 지원사업은 기존의 15만 원 상당의 응급구호세트를 재난 발생 때 일시 대피자에게 지급할 수 없는 상황을 개선해 필수품목 포함 단가 2만 원 범위에서 구성 및 제작해 지난 4월에 3만 개를 제작해 시군에 배부·비치해 재해에 대비했다.
올해 7~8월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경북은 주택 피해 212세대, 341명, 사전대피자 3245세대 4391명에게 경북만의 재해구호시스템인 경북형 일시구호세트 지원사업과 1마을 1대피소 지정 사업으로 주민 대피 시스템을 구축해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도는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k-마어서대피)을 기존의 대피소와 구호 중점에서 대피자들이 대피소에서 건강 및 행복 프로그램을 제공해 기존의 불편하고 지루한 대피소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 숙박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선진형 재난대피시설로 거듭나고 있다.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은 "올해는 2월 울진군 대설, 7월 집중호우, 태풍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도와 시군의 협력과 노력으로 재해구호 성과를 낼 수 있었다. K-마~어서대피 프로젝트를 조기에 정착시켜서 도와 시군이 협조하여 재해구호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