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하 논산경찰서장 |
불교의 계율을 하나 어길 때마다 10년의 형이 과해지고 저승에서 하루가 10년이라고 가정해 보자. 하나의 계율을 위반하면 이승에서의 3만 년이 넘는 형을 살게 된다. 그중 반을 깎아준다니 빨리 가봐야 하지 않겠는가?
논산에 부임하고 두 달 남짓 되었을 때 관촉사에 방문해 혜광스님에게 인사드렸다. 스님에게 졸랐더니 '관촉사사적기'라는 책을 주셨다. 차한잔 보시 받은 후 가람내 은진미륵을 보게 되었다. 불현듯 의문이 들어 여쭈었다. "주지스님, 은진미륵의 좌측 볼에 검버섯 같은게 있는데 왜 그런가요?". 그러자 담담한 답변이 날아왔다. "나라가 어려우면 은진미륵이 땀을 흘린다"고 하셨다. 그러면서 "나라가 평온해지면 다시 은진미륵의 피부가 하얗게 돌아온다"는 설명도 해주셨다.
관사로 돌아와 스님이 주신 책을 펼쳐보았다. 관촉사는 967년 고려 광종때 혜명스님이 착공하여, 1006년 목종 때 완공하였다. 무려 39년이나 소요되었다. 은진미륵이 땀을 흘린 기록은 여러 곳에서 나온다.
고려말 우왕 8년 1382년에는 관촉사에서는 용화회가 개최되었고, 목은 이색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두고 시를 지었다. 그중 마음에 와닿는 구절이 몇 군데 있다. '아출아출용종지(我出我出湧從地). 내 내간다 내 나간다며 땅속에서 솟았다네. 시시유한경군신(時時流汗警君臣). 때로는 땀 흘려 군신을 경계도 시키는데.'
조선 영조 19년 1743년에는 관촉사사적비를 세우는데 내용 중 은진미륵의 땀 이야기가 또 나온다. '국가가 태평하면 온몸이 빛나고 윤택하며 상서로운 기운이 서리고, 재앙과 난리가 있으면 온몸에서 땀을 흘리고 손에 쥔 꽃에 색이 없어지는데, 조정에서 관리를 파견하여 축문을 올려 재앙을 없애고 나라와 백성이 편안하기를 도모했다'는 기록이 있었다.
개태사(開泰寺)는 고려 왕건이 후삼국 통일의 마지막 전장이었던 황산벌에서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왕실의 절을 짓게 하였다. 개태는 태평함을 연다는 뜻이고, 그 뒷산 천호산은 하늘이 보호하여 전쟁에서 승리를 가져다 준 곳이라는 뜻이다. 그곳의 쇠솥은 크기로 보아 수백 명이 먹을 수 있는 국을 끓이는 용기였을 것이다.
그 유명한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은 고려 고종의 명을 받아 개태사의 주지인 수기(守其) 스님이 제작한 것이었다. 그는 고려대장경의 교정작업을 총괄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의 불심과 불력은 누구도 넘보지 못할 수준이었던 것이었다.
미내교(渼奈橋)는 조선 영조 7년인 1731년에 민간인들이 지은 다리이다. 미내다리는 화강암으로 건립된 3개의 아치형 돌다리이다. 한양과 호남의 요로에 위치하였던 돌다리로 당시 토목기술의 극치를 보여준다.
염라대왕의 전설이 논산지역에 왜 생겼을까 생각해보면 은진과 연산 그리고 강경의 자랑거리를 으시대고 싶어서 이야기를 만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자 이제 미리미리 염라대왕을 만날 일을 대비해 두자. 주말에 연산의 개태사, 은진의 관촉사, 강경 미내다리를 보러 가야 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인증사진을 찍어 SNS에 미리미리 올려두자. 갑자기 대왕이 '봤다는 것을 증명하라'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나는 올해가 가기 전 은진미륵전에 축문을 올려야겠다.
/유동하 논산경찰서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