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날에 이어 박정수 예결위원회 위원장은 안건으로 충남도와 산하기관의 2025년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안을 상정했다.
이날은 의회 보건복지위원회와 농수산해양위원회 소관의 본청 인구전략국, 보건복지국, 환경산림국, 농축산국, 해양수산국, 농업기술원, 동물위생시험소의 사업별 예산을 다뤘다.
그중 위원들의 가장 많은 질의가 이어진 분야는 충남도의 스마트팜 지원 정책과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각종 사업에 대한 내용이었다.
먼저 이정우 의원은 "스마트농업을 통한 농산물이 정상적으로 유통되고 주류로 자리잡기까진 점진적으로 검토하고 시행해야 한다. 스마트농업에서도 시행착오가 있을 수밖에 없고 부실도 적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농업 관련 사업 예산의 전반적인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윤기형 의원은 기존 농가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하며 "네덜란드와 이스라엘은 모두 농업강국이다. 네덜란드는 스마트팜 형태로 고수익을 올리고 있지만, 이스라엘의 경우는 양액공급 기술 등으로 유럽에 수출하는 등 투자대비 높은 성과를 낸다"고 했다. 이어 "우리나라와 충남의 기후와 현실적 기존농가 지원을 위해서 관비재배를 위한 컴퓨팅 기술 지원 등 농가와 논의를 통해 농업 분야 지원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구절벽 대책을 위한 개별사업에선 인구감소 대책 워크샵 비용, 어린이집 확충사업, 이동식 놀이교실 추진 사업비 감액 등에 대한 질의가 나왔다.
윤기형 의원은 "아이를 낳은 후에 지원하겠다는 방식보다는 현재 젊은 가정의 참여를 독려하면서 아이를 더 낳을 수 있는 지원 내용을 남아야 실질적 효과가 나오지 않겠냐"며 인구대책을 위한 각종 사업 예산 증액을 요구했다.
이에 김종수 도 인구전략국장은 "충남형 풀케어에서 더 나아가 올해 0.84명까지 충남도 출산율 증가가 예상되는데, 충남도가 전국에서 선제적인 인구대책 전략을 세우고 있는 만큼 이를 위해 더 적극적인 사업 추진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이외 9월 준공하는 논산공공산후조리원 운영 예산의 경우 추경에 이월 반영하거나 아산 곡교천 도시생태축 복원사업의 도 자체 사업 추진 의견, 부여원예농산물 거점사업 추진 시 주민의견 청취 등도 제안됐다.
내포=이현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