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
책장에 꽂아둔 책에서 이런 문구를 발견했다.(2012년 이진경 교수가 쓴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에 나온 문장이다.) 2024년 12월 3일 밤 대한민국 국민은 소중한 그것을 잃을 뻔했다. 그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비로소 깨닫고 있다. 국회 앞을 가득 채운 100만여 명의 시민들, 전국 각지 거리로 뛰쳐나가 대통령 탄핵을 외친 시민들의 모습이 바로 그것,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증명한다.
뉴스 속보를 보며 다양한 감정을 드는 건 나뿐만이 아닐 것이다. 화나고 침통하고 분노하다 이내 슬프고 서럽고 침통하다. 이런 감정들이 종일 무한 반복인 며칠을 보내면서 지금 이 순간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할 것들이 잔상처럼 남는다. 가장 먼저 기억해야 할 첫 장면은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그 모습이다. 3일 밤 일찍 귀가 후 잠깐 잠이 들었던 찰나 귀가한 남편이 흔들어 깨우면서 계엄령이 났다고 했다. 텔레비전을 켜 뉴스를 틀었더니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영상이 반복돼 나오고 있었다.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로 시작하는 그 말 뒤에 비상계엄이 있었다. "국정은 마비되고 국민들의 한숨은 늘어나고 있다", "미래세대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 등 다시 되돌려 주고 싶은 말들이 5분여간 흘러나왔다. 국회의 빠른 조치로 계엄은 철회됐지만 2024년 비상계엄이란 비극을 맞이한 그 순간을, 내 평생 첫 계엄을 잊지 못할 것이다.
또 다른 풍경은 시민들의 모습이다. 계엄 선포 당일 국회로 달려가 계엄군의 국회 출입을 몸으로 막고 국회와 전국 각지서 대통령 퇴진과 탄핵을 외친 시민들은 2024년 우리에게 민주주의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몸소 보여준다. 그곳엔 내 또래도 있지만 젊은 시절 계엄을 마주한 세대도 적지 않았다. 계엄이 어떤 것임을 알기에, 다시는 그런 역사가 반복돼선 안 되다는 생각에 거리로 뛰쳐나간 어른들을 보며 감사와 비통한 마음이 동시에 들었다.
이번 계엄 사태에서 잊어선 안 될 것도 있다. '아닌 밤중에 비상계엄' 이후 나라는 쑥대밭이 됐고 대통령 퇴진과 탄핵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들끓었다. 비상계엄 선포 나흘 만에 대통령은 2분여 짧은 사과를 했을 뿐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말은 없었다. 그날 밤 예정된 대통령 탄핵 표결에서 최소한으로 참여해야 할 국회의원이 모이지 않아 탄핵안이 부결됐다. 박근혜 탄핵을 겪으며 가시밭길을 걸었던 여당이지만 이보다 더한 탄핵 사유를 외면할 수 있을까 하는 순진한 생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여당 의원들을 보며 이들만은 표결에 참여하길 바랐다. 국회 본회의장에 나타나지 않은 국민의힘 105명의 의원, 그들의 이름을 기억해야 한다. 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