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2024년 비상계엄, 잊어선 안 될 것들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2024년 비상계엄, 잊어선 안 될 것들

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 승인 2024-12-09 17:15
  • 신문게재 2024-12-10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임효인 증명사진
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소중한 것은 그것이 결여됐을 때 비로소 눈에 들어온다. 그러나 결여를 통해 어떤 것을 사유한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그것은 언제나 뒤늦은 후회를 수반하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책장에 꽂아둔 책에서 이런 문구를 발견했다.(2012년 이진경 교수가 쓴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에 나온 문장이다.) 2024년 12월 3일 밤 대한민국 국민은 소중한 그것을 잃을 뻔했다. 그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비로소 깨닫고 있다. 국회 앞을 가득 채운 100만여 명의 시민들, 전국 각지 거리로 뛰쳐나가 대통령 탄핵을 외친 시민들의 모습이 바로 그것,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증명한다.

뉴스 속보를 보며 다양한 감정을 드는 건 나뿐만이 아닐 것이다. 화나고 침통하고 분노하다 이내 슬프고 서럽고 침통하다. 이런 감정들이 종일 무한 반복인 며칠을 보내면서 지금 이 순간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할 것들이 잔상처럼 남는다. 가장 먼저 기억해야 할 첫 장면은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그 모습이다. 3일 밤 일찍 귀가 후 잠깐 잠이 들었던 찰나 귀가한 남편이 흔들어 깨우면서 계엄령이 났다고 했다. 텔레비전을 켜 뉴스를 틀었더니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영상이 반복돼 나오고 있었다.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로 시작하는 그 말 뒤에 비상계엄이 있었다. "국정은 마비되고 국민들의 한숨은 늘어나고 있다", "미래세대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 등 다시 되돌려 주고 싶은 말들이 5분여간 흘러나왔다. 국회의 빠른 조치로 계엄은 철회됐지만 2024년 비상계엄이란 비극을 맞이한 그 순간을, 내 평생 첫 계엄을 잊지 못할 것이다.

또 다른 풍경은 시민들의 모습이다. 계엄 선포 당일 국회로 달려가 계엄군의 국회 출입을 몸으로 막고 국회와 전국 각지서 대통령 퇴진과 탄핵을 외친 시민들은 2024년 우리에게 민주주의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몸소 보여준다. 그곳엔 내 또래도 있지만 젊은 시절 계엄을 마주한 세대도 적지 않았다. 계엄이 어떤 것임을 알기에, 다시는 그런 역사가 반복돼선 안 되다는 생각에 거리로 뛰쳐나간 어른들을 보며 감사와 비통한 마음이 동시에 들었다.



이번 계엄 사태에서 잊어선 안 될 것도 있다. '아닌 밤중에 비상계엄' 이후 나라는 쑥대밭이 됐고 대통령 퇴진과 탄핵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들끓었다. 비상계엄 선포 나흘 만에 대통령은 2분여 짧은 사과를 했을 뿐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말은 없었다. 그날 밤 예정된 대통령 탄핵 표결에서 최소한으로 참여해야 할 국회의원이 모이지 않아 탄핵안이 부결됐다. 박근혜 탄핵을 겪으며 가시밭길을 걸었던 여당이지만 이보다 더한 탄핵 사유를 외면할 수 있을까 하는 순진한 생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여당 의원들을 보며 이들만은 표결에 참여하길 바랐다. 국회 본회의장에 나타나지 않은 국민의힘 105명의 의원, 그들의 이름을 기억해야 한다. 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