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내란죄', '독재 망령' 등 표현으로 격앙된 반응으로 들끓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대부분 유구무언으로 일관하고 있는데 여권 일각에선 윤 대통령 책임론을 거론하기도 했다.
민주당 수석대변인을 맡고 있는 조승래 의원(대전유성갑)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위헌적, 위법적 비상계엄을 내란죄로 단죄하겠다"며 "윤 대통령, 김용현 국방부 장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내란죄로 고발하고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쏘아부쳤다.
이 어 "계엄사령관, 경찰청장 등 군과 경찰의 주요 가담자도 내란죄로 고발할 것"이라며 "수사 기관은 전 국민이 인지하고 있는 내란 사건인 만큼 즉각 수사에 착수해 내란범들을 법의 심판대에 세우라"고 공세수위를 높였다.
같은당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은 4일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지 요구 결의안이 가결된 직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독재의 망령을 되살리려고 하는 윤석열. 그는 이미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아니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국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지켜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이정문 의원(천안병)도 페이스북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헌법 제1조 1항을 상기한 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우리 헌법이 보장하는 민주적 기본질서를 심각하게 위협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수많은 순국선열과 민주열사들이 피와 눈물로 지켜온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위태로운 순간을 맞았다"며 "민주장은 헌법과 법치중릐를 수호하고 민주주의 지키기 위해 모든 헌법적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보탰다.
반면, 국민의힘 충청권 의원들은 대부분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고 침묵을 이어갔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정국 현안을 놓고 대립했던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최측근인장동혁 의원(보령서천)은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다. 이날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지 요구 결의안 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졌지만 개인적인 추가적인 코멘트를 하지 않은 것이다.
용산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출진으로 지역의 대표적 친윤(친윤석열)계 강승규(홍성예산) 의원도 침묵했다.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이종배(충주) 의원 등도 공식적인 반응은 없었다.
다만, 국회 국방위원장으로 당내에서 계파색이 옅은 중도파로 분류되는 성일종 의원(서산태안)은 페이스북에 "일본 UN사 후방기지 방문 중이던 국회 국방위원회 여야 의원들은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오늘 아침 첫 비행기로 귀국했다"며 "국방위원회가 국민 걱정을 덜어드리기 위해 상황을 잘 점검토록 하겠다"고 썼다.
여권 일각에선 윤 대통령에 대한 비판도 감지됐다.
민주당 시절 대표적 비명(비이재명)계였다가 22대 총선을 앞두고 여당에 입당한 5선 출신 이상민 대전시당위원장은 중도일보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은 국정을 바로세우기 위해 국민을 설득해서 야당이 꼼짝 못하는 방식으로 해야지 일방적인 계엄을 통해 해결하려고 했다. 법적 책임 이전에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진단했다.
그러면서 "어느 선까지 책임을 져야할 것이냐는 심사숙고해야 하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