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원기 경제부 차장 |
또 다른 정년 퇴직자는 취업박람회를 전전한다. 소일거리라도 하고 싶지만, 일자리가 나질 않는다. 그간 기업 등에서 일한 화려한 이력은 여기서 통하지 않는다. 60대 초반인 그에게 세상은 일자리를 주지 않는다. 뒤늦게 결혼해 아이를 낳은 그는 자녀를 책임져야 한다. 쉴 수 없다. 그런데 맞아 떨어지는 구직 공고가 없다. 아파트 경비원도 바늘구멍에 실 넣기다.
50·60세대가 은퇴 후에도 돈에 목매고 있다. 50·60세대는 부모를 모시기도 하며, 사회에 나서지 못한 아이를 키우기도 한다. 내 몸도 건사하지 못하는 처지다. 이들이 사회초년생일 당시인 1990년대엔 일자리가 넘쳐났다. 지금처럼 취업 준비에 사활을 걸지도 않았다. 대학 학과 사무실에서 추천서를 써주던 시절이다. 기업에서 모셔가는 게 당시 사회적 풍토다. 대학졸업자보다 일자리가 많았다. 그랬던 그들이 이젠 은퇴 후에도 일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떨까. 경제 성장이 더디던 2010년 질 좋은 일자리는 그 시점에 머물렀는데 대학 졸업자들은 많아졌다. 이 때문일까. 특별한 이유 없이 일과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쉬는 이들이 태반이다. 수치로도 드러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단순히 쉰다는 청년층 25~34세가 2023년 3분기 33만 6000명에서 2024년 3분기 42만 2000명으로 1년 만에 25.4%나 늘었다. 쉰다는 건 육아·가사와 교육기관 통학, 취업·진학 준비, 연로·심신장애를 제외한 수치다. 이유 없이 쉰다는 뜻이다. 먹이고 입히고 배움을 지원해도 노는 이들이 이만큼이나 된다.
그럼 부모 자본을 자식에게 물려주면 될까. 이마저도 50·60세대에겐 꿈만 같은 일이다. 극소수 부유층을 제외하고 부모와 자식에게 손을 벌리지 않아도 잘 살아냈다는 말을 한다. 은퇴 후에도 딸린 식구를 책임지려 취업에 뛰어들고 있으니 그럴만한 돈이 없다는 건 당연지사다. 빚과 끼니 걱정 없이 사는 중산층 자체가 갈수록 축소되고 있다. 자식을 대학에 보낸다는 걸로 계층을 물려줄 수 있는 시대도 아니다.
이대로라면 20·30세대는 단군 이래 부모보다 못 사는 세대란 우스갯소리가 현실화되게 생겼다. 개발을 거듭하며 자식이 부모보다 잘 사는 걸 당연시하면 사회가 거꾸로 향하고 있다. 물론 당시 소득과 기회 배분이 균등하게 이뤄진 걸 모르는 건 아니다. 부모 세대가 짊어진 짐을 돌려받기까지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수많은 중소기업이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쉴 때가 아니다. 뭐라도 해야 한다. 움직여라.
방원기 경제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