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교통유발부담금' 대폭 확대...'상권 공실' 기금 전환?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교통유발부담금' 대폭 확대...'상권 공실' 기금 전환?

2024년 10월 교통유발부담금 부과...2025년 900곳으로 증가 예상
김효숙 의원, 시의회 산건위 심의 과정서 '상권 공실' 대응 활용 제안
집합상가 소유주 유예 조례 무산...집행부-의회 머리 맞대기 관건

  • 승인 2024-12-03 11:33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20408_074800908_10
세종시는 2022년부터 교통유발부담금을 주요 중대형 건축물 소유주에게 부과하고 있다. 사진=중도일보 DB.
차량 지·정체와 혼잡 통행을 가져오는 중대형 건축물에 부과하는 '교통유발부담금'. 이를 세종시의 제1현안으로 꼽히는 '상가 공실' 해소에 사용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12월 3일 시에 따르면 시의 교통유발부담금 연도별 부과 대상은 2022년 16곳(단일소유 3만㎡ 이상), 2023년 66곳(단일소유 1만㎡ 이상), 2024년 250곳(단일·분할소유 1만㎡ 이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25년에는 단일·분할소유 1000㎡ 이상, 읍면은 3000㎡ 이상까지 확대돼 부과대상이 약 900곳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2년부터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따라 교통혼잡의 원인이 되는 시설물의 소유자에게 매년 10월경 부과해왔다.

이 같은 현주소를 토대로 교통유발부담금의 일부를 상권 육성기금으로 만들어 공실 해소의 마중물로 삼자는 의견은 더불어민주당 김효숙(나성동) 시의원에 의해 제기됐다. 제94회 정례회 산업건설위원회 소관 교통국 본예산 심의에서다.

김효숙 사진2
김효숙 의원이 교통유발부담금의 일부를 상권 공실 기금으로 사용하자는 제언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시의회 제공.
김 의원은 "올해 부과 대상이 많이 늘면서, 소유자분들의 민원이 많았다. 세종시의 경우 상가 공실이 심각해 교통유발부담금의 부과는 시기상조란 의견이 많다"라며 "통상 징수 후 교통사업 특별회계 세입으로 분류되나 대부분 용도는 교통시설 설치나 혼잡 개선 사업비로 쓰이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서 일부를 '상권 육성 기금'으로 조성하자는 뜻이다. 예컨대 창업 기업이 공실 상가 입주 과정에서 임대료 지원 등이 이뤄지면, 공실 해소의 역발상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는 "상가 소유주의 교통유발부담금에 대한 가장 큰 불만이 높은 공실률에 따른 상권 비활성화와 상권 내 유동 인구 부족으로 귀결된다"라며 "부담금 전면 부과에 앞서 시설물의 실제 사용 용도나 공실 여부, 면적, 소유주 등 전반적이고도 꼼꼼한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는 전제조건도 달았다.

이와 관련,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대상에 포함된 분할소유 상가(집합상가)에 대한 유예 조례가 2024년 5월 제출됐으나, 시의회 심의 과정에서 최종 무산된 바 있다. 김 의원의 주장이 실효적 대책으로 이어지려면, 시 집행부와 의회 차원의 머리 맞대기가 선행 요건으로 다가온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2.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3.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4.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5.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1.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2. '조기 대선' 겨냥, 각 지자체 공약 선점 나서… 대전시도 대선 대비 총력
  3. [인터뷰]이환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대전시지회 지회장
  4.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정차 집중 단속
  5. [S석 한컷]두 말 필요없는 완벽한 패배 K리그1 7R 대전 VS 전북

헤드라인 뉴스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6·3 조기대선 정국 초반, 충청발(發) 매머드 이슈가 잇따라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대선링을 흔들고 있다. 지역 대권 주자 배출과 결집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고, 행정수도 개헌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대선판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다. 역대 대선 때마다 정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던 소극적인 스탠스에서 벗어나, 강한 정치력과 응집력을 바탕으로 충청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정부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5월 11일,..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