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자 : ?(빨 연/입으로 빨다) 疽(등창 저/ 종기 저) 之(어조사 지) 仁(어질 인)
출 처 : 사기(史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
비 유 : 장수(將帥)가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은 기나긴 역사를 통해 얻어진 귀중한 자료 중 용병(用兵)하는 방법을 총망라한 병법(兵法)일곱 가지를 정리하여 이른바 무경칠서(武經七書)라고 칭(稱)하고 있다. 이는 무학칠서(武學七書)라고도 하고 혹은 칠서(七書)라고도 한다.
여기에는 손무(孫武)의 손자병법(孫子兵法), 오기(吳起)의 오자(吳子), 사마양저(司馬穰?)의 사마법(司馬法), 주나라 위료(尉?)의 위료자(尉?子), 당(唐)나라 이정(李靖)의 이위공문대(李尉公問對), 한(韓)나라 황석공(黃石公)의 삼략(三略), 주(周)나라 여망(呂望)의 육도(六韜)를 일컫는 말로 송(宋)나라에서 이들 병서(兵書)를 무학(武學)으로 지정한 후 칠서(七書)라고 호칭한데서 비롯되었다.
조직은 리더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며, 특히 군대조직은 장수(將帥/사령관)의 역할이 승패(勝敗)를 결정짓는 가장 핵심요인(核心要因)임은 진리(眞理)라고 할 수 있다.
장수로서 부하관리(部下管理)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성공(成功)한 장수로는 오기(吳起)장군이라 할 수 있다.
오기(吳起)는 손자(孫子)와 더불어 중국을 대표하는 병법가(兵法家)이다. 그는 위(衛)나라 사람으로, 젊은 시절 벼슬에 오르려 애썼지만 가산(家産)만 탕진했다. 그러다 자기를 비웃는 마을 사람 30여 명을 죽이고 노(魯)나라로 도망쳐 증자(曾子)의 문하(門下)로 들어갔다.
재상(宰相)이 되기 전에는 고향에 돌아가지 않겠다는 어머니와의 맹세를 지키기 위해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도 장례식까지 가지 않았다. 이런 연유로 증자(曾子)의 미움을 사 그의 문하(門下)에서 쫓겨났고, 장수가 되기 위해 병법을 공부했다.
병법(兵法) 공부를 마친 오기(吳起)는 위(魏)나라의 문후(文侯)가 현명하다는 말을 듣고 위(魏)나라로 가서 장수(將帥)로 임명되었다. 그 후 그는 뛰어난 지휘(指揮)와 용병술(用兵術)로 많은 공(功)을 세웠다.
오기(吳起)는 장군으로서 군대를 거느릴 때에는 언제나 하급병졸(下級兵卒)들과 의식(衣食)을 똑 같이 했고, 누울 때에도 언제나 자리를 까는 법이 없었으며, 행군을 할 때도 수레에 타지 않았다. 또한 자기가 먹을 양식(糧食)은 자기가 가지고 다니는 등 병졸(兵卒)들과 고락(苦樂)을 함께 하였다.
어느 날 병졸(兵卒)들 가운데 심한 종기(疽)로 괴로워하는 병사(兵士)가 생기자 오기(吳起)는 그 병사(兵士)의 고름을 입으로 직접 빨아 고쳐주었다. 그 소식을 전해들은 병사(兵士)의 어머니는 소리 내어 통곡을 했다. 누군가가 말하기를 "당신 아들은 졸병(卒兵)에 지나지 않는데 장군(將軍)께서 친절하게도 종기를 빨아 주지 않았소! 그런데 왜 우시는 거요?"라고 묻자 그 어머니는 이렇게 말했다.
"지난해에도 오기(吳起)장군께서 그 애 아버지의 종기를 빨아주었습니다. 그이는 감격한 나머지 끝까지 도망치지 않고 싸우다 죽고 말았습니다. 장군(將軍)께서 지금 또 자식의 종기를 빨아주셨으니 그 자식도 필경은 어디서인가 싸우다가 죽을 것이 아닙니까? 그래서 우는 겁니다."
사기(史記 )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기록된 내용이다.
'士爲知己者死(사위지기자사) 女爲說己者容(여위열기자용)'
곧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고, 여자는 자기를 기쁘게 해주는 사람을 위하여 얼굴을 꾸민다. 사기(史記) 자객열전(刺客列傳)에 기록된 말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오기(吳起)는 인간의 감성(感性)을 확실히 이해했던 장수(將帥)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조직의 구성원 즉, 병사들의 신뢰(信賴)를 얻는 것이 무엇보다 더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병사들의 신뢰를 얻어 싸움에 임(臨)하여 연전연승(連戰連勝)을 얻는 명장(名將)이 되었을 것이다.
조직(組織)을 책임지고 있는 리더나 국가(國家)와 국민(國民)을 책임지고 있는 위정자(爲政者)들이 지극히 본받아야 할 중요한 내용이다.
장상현/ 전 인문학 교수
장상현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