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국은행 제공) |
주요 원인으로는 일자리 미스매치와 경기 둔화가 지목되는 상황으로, 경제활동참가율이 전국 하위권인 대전에서도 맞춤형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2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이 공개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들어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유독 크게 늘었다.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에서 청년층 쉬었음 인구 비중은 지난해 4분기 22.7%에서 올해 3분기 29.5%까지 상승했다. 그 인구는 지난해 3분기 33만 6000명에서 올해 3분기 42만 2000명으로, 1년 만에 25.4%가량 올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가사와 교육기관 통학, 취업·진학 준비, 연로·심신장애, 쉬었음 등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쉬었음 인구는 특별한 이유가 교육훈련 없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기에 잠재적인 노동력 손실을 의미한다.
쉬었음 인구 증가의 핵심 원인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일자리 미스매치'가 지목된다.
이수민 고용분석팀 과장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 쉬고 있는 비중도 청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며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미스매치 현상은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각종 고용지표의 큰 변화 없이 쉬고 있는 인구가 폭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실업률 등 노동시장 슬랙 지표에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쉬었음 인구가 늘어난 것은 이례적이다"라며 "청년층의 '쉬었음' 상태가 장기화하면서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영구 이탈하거나 니트(NEET·학업이나 일, 구직하지 않는 무직자)가 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 이들을 다시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0월 경제활동참가율이 전국 17개 시·도 중 하위권으로 나타난 대전(14위, 61.7%)에서도 정책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대전은 전체 인구 중 청년층 비율(27.7%, 전국 특·광역시 2위)이 높아 관련 문제에 더욱 취약한 실정이다. 기초단체부터의 체계적인 맞춤형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지역 정치권에서는 구체적인 실태조사를 병행한 지원 정책 발굴을 촉구하고 있다.
김미희 유성구의원은 "우선 비경제활동 청년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정확한 현황을 알아야 왜 일을 쉬는지, 이들을 경제활동 영역으로 유입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은 무엇인지 알 수 있다"라며 "올해 9월 구정질문 등을 거치며 유성구와도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구에서도 공감한다는 의사를 내비친 만큼, 앞으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의 마주한 현실 문제 해결에 함께 나설 것"이라고 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