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신민>의 첫 문구는 "탕왕이 대야에 새기기(盤銘)를 '진실로 날로 새로워지려면 나날이 새로워지고 또 날로 새롭게 하라.' (湯之盤銘曰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이다. 탕왕은 아침마다 만나는 세수 대야에 좌우명을 새기고 늘 숙지토록 하였던 모양이다. 새로워지려는 대상은 정신활동, 지식과 인식, 생활행태 등 모든 삶의 내용이 포함된다. 안팎의 성장과 조화에 대해 서술한 것이 팔조목이다. 그 지향점은 선이다. 바르고 착한 것이요, 그것도 지극한 것이다. 《대학》은 우리가 새로워지려는 것은 지극히 선한 경지에 이르기 위한 것(止於至善)이라 이른다. 선은 바르고 착함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진선미(眞善美) 모두가 포함된다. 진은 지적 사고, 미는 감정과 연결된다. 선은 의지, 윤리와 관계있다. 앞의 두 가지에도 의지의 반영이 있어야한다. 즉, 참됨과 아름다움, 착함으로서의 선인 것이다.
누구나 선을 향해 새로워지려 노력한다면 얼마나 아름다운 세상이 되랴. 거짓, 조작, 사기, 선전선동, 도둑질, 폭력 등은 선과 거리가 멀다. 어느 시대나 있을 법 한 일이긴 하나 요즈음 특히 떠오르는 두 가지가 있다. 혹세무민(惑世誣民)과 곡학아세(曲學阿世)이다.
혹세무민은 먼저 터득한 지식 또는 그릇된 이론으로 모르는 사람을 속여, 미혹시키고 어지럽히는 것이다. 알량한 지식으로 남의 눈을 가리는 것은 비길 데 없이 큰 죄악이다. 무지한 백성이 대상이므로 야비하기 이를 데 없다. 극단주의자가 즐겨 쓰는 수법이다. 자신이 내세우는 가치의 우월성 주장으로 대중을 선동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곡학아세는 바르지 못한 학문으로 인기에 영합하거나 현혹시키는 것이다. 기득권층이나 세속에 아첨 아부한다. 목적을 위해 스스로 학문을 굽히거나 왜곡시켜 호도한다. 역시나 선전선동도 서슴지 않는다. 권력욕 또는 출세에 눈이 먼 지식인, 전문가가 주로 저지른다.
이들이 얼마나 무서운지, 아돌프 히틀러나 요제프 괴벨스 같은 독재자의 말을 종합해 본다.
독재자는 일반 대중에게 생각이 없다고 치부한다. "사람들이 생각을 안 하니 통치자들은 얼마나 운이 좋은가." 잠자는 대중은 그들도 경멸한다. 대중 심리도 교묘하게 이용한다. "대중은 작은 거짓말보다 큰 거짓말을 믿을 가능성이 더 높다." 거짓 선동에 자신만만이다. "분노와 증오는 대중을 열광시키는 가장 강력한 힘이다. 선전의 가장 큰 적은 '지식인주의'이다." 지식인은 배격하고, 무지몽매하게 만든다. "교묘하고 지속적인 선전을 통해 사람들은 천국을 지옥으로 여기게 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가장 비참한 삶을 천국으로 여기게 될 수도 있다." 반복하여 계속하면 결국 속는 것이 선전 기술이라 주장한다. "민중은 그저 빵 한 조각과 왜곡된 자극적인 정보만 주면 충성스러운 사람으로 만들 수 있다." 게다가, 속은 줄 알면서도 곧잘 잊는다. "살해하고, 파괴하고, 약탈하고, 거짓말하라. 승리 후에 얼마나 많은 것을 원하는지는 아무도 왜냐고 묻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선전은 본질상 일종의 예술이다. 그리고 선전원은 엄밀한 단어 의미에 있어 민중 심리 예술가라고 볼 수 있다." "위대한 거짓말쟁이는 또한 위대한 마술사이기도 하다." 최악의 악행, 거짓을 찬미한다.
우리사회에 악의적 선전선동이 횡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가 구현되고 있음에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우습게보지 말라, 100여 년 전의 무기력한 대중이 아니다. 침묵한다고 얕잡아 보지 마라. 임계점에 이르면 문득 깨어나 바로 세울 것이다. 내가 아는 한 줄 상식을 상대방이 모른다고 무시하지 말라. 누구에게나 살아온 이상의 지혜와 경륜이 있다. 지식의 크기만큼 사회적 책임감도 가지고 있다. 뿐인가? 모름지기 지극한 선을 향해 나날이 새롭게 하고 있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