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9. 대전 유성구 관평동 세차장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9. 대전 유성구 관평동 세차장

유성구 관평동 상권 내 세차장 4곳으로 줄곧 유지
월 평균 매출은 646만원으로 1년 전보다 증가 추세
주요 고객층 30, 40, 50대 남성 공략한다면 승산

  • 승인 2024-12-04 16:32
  • 수정 2024-12-04 17:28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관평동1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19. 대전 유성구 관평동 세차장



직장인 김 모(44) 씨는 자타공인 세차 광이다. 비 오는 날 세차가 끝난 뒤 광낸 차량 본 네트에 따라 물방울이 흘러가는 걸 바라보며 뿌듯해하는 세차 마니아로 통한다. 어깨너머 배운 광택 기술과 자신만의 세차방법으로 갓 출고한 차로 만드는 걸 즐긴다. 몇 년간 세차하지 않은 지인의 차를 닦을 땐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보며 희열을 느낀다. 차 트렁크엔 용품이 가득하다. 양손으로 들기도 부족하다. 내부 디테일링도 빼놓지 않는다. 세차를 끝내고 차를 바라보는 즐거움은 그 어떤 모습과도 비교할 수 없다고 김 씨는 설명한다. 개인 공간의 세차장을 만들고 싶지만 현재 직장보다 더 벌 수 있을지 고민이다. 그의 고민을 덜어보자.



▲경쟁자는 얼마나=김 씨가 원하는 상권은 대전 유성구 관평동 상권이다. 외각보다는 소비자가 편하게 찾을 수 있는 상권 내 차리고 싶다. 2024년 9월 기준 상권 내 세차장은 4곳으로, 1년 전과 동일하다. 반경 1km 내 세차장 수는 10곳, 유성구 전체로는 200곳이다. 대전 전체로 놓고 보면 548곳이다. 반경 1km 내로는 1년 전보다 1곳 늘었고, 유성구 전체로는 8곳 늘었다. 대전 전체로는 30곳 증가했다. 관평동 상권을 제외하곤 지역 세차장 업소 수는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업소수 증가는 해당 업종 경기가 좋다는 걸 의미한다. 업소수 추이는 업종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만큼 창업 의사결정이나 업소운영 기간 결정 시 중요한 참고자료로 쓰인다.





▲매출은=김 씨가 가장 궁금한 매출은 2024년 9월 기준 월평균 646만원이다. 1년 전(604만원)보다 증가했으며, 1년 내 평균 600만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다. 반경 1km 월평균 매출은 671만원, 유성구 전체는 701만원, 대전 전체는 568만원이다. 세차장 특성상 재료비를 제외하곤 자신의 인건비가 매출로 책정되는 만큼 일반 직장인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매출은 주중과 주말이 비슷했다. 주중엔 월평균 92만원, 주말은 94만원이다. 주중엔 화요일이 13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금요일(91만원), 월요일(87만원), 목요일(82만원), 수요일(68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131만원으로 높았고, 일요일은 57만원으로 낮았다. 통상 주중과 주말의 매출차가 크지 않은 상권이 더 좋은 상권이라 볼 수 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주요 손님층은 차량에 관심이 많은 남성이 월평균 341만원으로 높았고, 여성은 106만원이다. 40대가 월 평균 128만원을 지출했고, 30대 123만원, 50대 115만원, 60대 이상 51만원, 20대 30만원 순이다. 시간대는 오후 2시~5시가 26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오전 11시~오후 2시 146만원, 오후 5시~9시 116만원, 오전 6시~11시 91만원 등이다. 요일·시간대별 매출 비율을 통해 평균 매출이 낮은 요일의 경우 할인행사나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의 영업·마케팅 및 업소 운영 시간의 조정 등 업소 운영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성별·연령대별 매출 비율은 선택 상권과 업종을 주로 이용하는 타겟 고객층을 의미한다. 주 타겟고객의 성별과 연령을 고려해 서비스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30·40·50대 남성의 고객을 중점적으로 공략한다면 승산이 있어 보인다.



▲잠재적 고객인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인 유성구 관평동 유동인구는 2024년 9월 기준 6만 5614명으로, 1년 전(7만 3014명)보다 확인하게 줄어들었다. 2024년 5월 8만 1105명으로 8만 명대까지 올라오면 유동인구는 6월 들어 6만 2727명으로 줄어든 뒤 현재까지 등락하고 있다. 인구별로는 40대가 1만 6183명으로 가장 많고, 50대 1만 4610명, 30대 1만 400명, 60대 이상 1만 164명, 10대 7637명, 20대 6621명 등이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셀로 추정한, 해당월 일 평균 추정데이터다. 유동인구는 상권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상권의 구매력 파악과 서비스 전략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김 씨의 제2의 인생인 세차장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