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집계에서 3분기 합계출산율 0.76명 상회는 상당히 유의미하다. 3분기에만 한정해보면 국회예산정책처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등의 예측치 0.74명을 넘어선다. 대전이 1년 사이 0.15명, 충남이 0.11명 줄어 낙담하던 분위기는 1년 만에 반전됐다. 세종시가 전국 유일의 합계 출산율 1명을 회복할지도 관심사다. 어렵지만 결국 저출산 국가, 저출산 지역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거하는 데 답이 있다.
출생아 수가 2개 분기 연속 증가한 것은 9년여 만에 처음이다. 이것이 더욱 반가운 이유는 2015년부터 81개월간 내리막길, 2022년 9월 한 차례 반등을 끝으로 다시 18개월간 감소한 뒤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시·군에서 나타나는 지역 편차도 극복할 과제다. 저출산의 다른 표현은 지역소멸이다. 아기 울음소리가 잦아들면 '인구통계학적 겨울'도 앞당겨진다.
27일 발표된 인구 동향에서 주목할 부분은 출산율의 대표적인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다. 9월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보다 1884명(10.1%) 늘어난 것은 2021년 8월에서 2023년 1분기까지의 혼인 증가와 무관하지 않다. 아울러 지금 논란이 된 비혼 출산에 대해서도 제도적인 지원을 포함해 사회가 응답할 차례라고 본다. 혼인 건수는 무엇보다 일자리, 주거, 정책이 삼박자를 갖춰야 실효를 거둔다. 양질의 일자리는 결혼 적령기 인구도 늘린다. 아이 안 낳는 이유는 다양하나 수도권은 비싼 집값, 비수도권은 일자리 부족을 제일의 이유로 꼽는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