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훈희 경제부 기자 |
우리 아파트엔 '리버'가 들어가 있다. 인근에 강이 있으면 '리버', 호수가 있으면 '레이크', 숲이 있으면 '포레', 공원이 있으면 '파크', 학원이 많으면 '에듀', 도심에 있으면 '센트럴' 등을 담아 이름을 짓는단다. 영어뿐 아니라 프랑스어, 라틴어 등 각종 외국어를 사용해 고급화(?) 전략을 극대화한 아파트 작명도 나오고 있다.
건설사 브랜드명까지 이어지면 이제 더 늘어나기 시작한다. GS건설 '자이', 대우건설 '푸르지오',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DL(DL이앤씨·DL건설) 'e편한세상' 호반건설 '호반써밋' 등 건설사마다 브랜드 이름도 가지각색이다.
여기에 지역까지 들어가면 길고 긴 아파트 이름이 완성된다. 대전에선 상급지로 인정받기 위한 작명도 끊이지 않는다. 서구에선 둔산 프리미엄을 노리고, 둔산동이 아니어도 인근 지역이면 아파트 이름엔 둔산이 들어가는 경우가 속속 나온다.
늘릴 대로 늘려서 아파트 이름을 짓다 보니, 아파트를 줄여 부르는 지경에 이르렀다. 도푸디(도안 푸르지오 디아델), 도우트(도안 우미린 트리쉐이드), 도리팍(도안 리버 파크), 둔더엘(둔산 더샵 엘리프), 둔자아(둔산 자이 아이파크) 등 대전에서 실수요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는 아파트들은 인터넷 검색 자동 알림에도 이름이 나올 정도다.
이렇게 아파트에 지역과 특색, 브랜드를 담아 이름을 짓는 것을 '펫네임'이라고 한다. 부동산 정보 조사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990년대 평균 4.2자였던 아파트 이름 글자 수는 2000년대 6.1자, 2019년에는 9.84자까지 늘어났다는 통계도 있다. 이런 상황 속 아파트 이름을 쉽게 짓자는 권고안을 서울시가 내놓기도 했지만, 개인 재산인 만큼, 실효성은 없는 듯하다.
아파트 이름에 너무 많은 것을 담으려는 게 아닌지 아쉬움이 있다. 너무 많은 것을 담으려고 하면 결국은 제대로 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발표한 아파트 인식조사에서 72.3%가 '아파트 이름이 인지하기 어려웠던 적이 있다'고 응답한 걸 보며 느낀다. 단순한 것이 최고다.
조훈희 경제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