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현민 기자. |
전국교육공무직연대회의(이하 교육공무직)의 총파업이 전국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교육공무직은 조리사, 행정실무사, 돌봄전담사 등 학생들의 학습 환경과 안전을 책임지는 필수적인 존재다. 그러나 그들의 처우 개선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12월 6일부터 진행될 총파업은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공무직의 강력한 외침으로 해석된다.
교육당국과 수차례 집단교섭에 나섰지만 양측의 의견은 좀처럼 좁혀지 않았고 결국 교섭은 조정 중지로 이어졌다. 이들은 총파업이라는 최악의 수를 앞세워 임금 인상과 직업 안정성 강화, 근로 조건 개선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교육공무직의 총파업은 노동자들의 정당한 권리 행사지만 교육 현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이들의 업무가 중단되면서 그 피해는 사회적으로 가장 보호받아야 할 학생들이 떠안게 될 상황이다.
먼저 학교 급식이 중단되면서 학생들의 영향 불균형과 건강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파업으로 인해 대체 급식을 제공하더라도 간단한 도시락이나 즉석식품으로 대체되면서 영양가는 낮아지고 학생들의 식사 만족도는 떨어진다는 우려다.
돌봄 공백도 마찬가지다. 급식과 마찬가지로 돌봄의 공백이 생기면서 맞벌이 가정의 학생들은 기존에 적응하던 학습 환경을 잃고 방치될 위험에 놓여있다. 예정된 총파업은 단기적으로 학습 환경에 혼란을 초래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급식과 돌봄이 중단된 상황에서 이에 대응할 여력이 있는 가정과 그렇지 못한 가정 간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다.
사용자와 노동자의 강대강 싸움을 서둘러 종식하고 학기말 어수선한 분위기를 정돈해야 한다. 내년 확대되는 늘봄학교, 일부 학년을 대상으로 본격 도입될 AI 디지털교과서 등 정작 집중해야 할 부분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학생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 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장기적 비전이 노동 갈등 이슈에 묻히는 것은 교육계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양측의 입장을 모두 들어보면 누구의 잘잘못을 따질 순 없다. 이젠 해마다 비슷한 형태로 반복되는 갈등을 단순히 타협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학생들의 미래를 위한 장기적 비전을 수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교육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고 단기적 갈등을 넘어 진정한 혁신과 공정을 이루는 데 집중해야 할 때다.
성숙한 어른으로서 지혜롭게 난관을 헤쳐나가며 학생들에게 귀감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